전북도가 수소산업을 미래 먹거리 대표산업으로 육성키로 했다. 활기를 찾기 못하고 있는 지역경제 회생을 위한 미래혁신 성장산업으로 수소산업을 추켜든 것이다. 최근 도는 ‘전라북도 수소산업 종합발전계획’보고서를 통해 재생에너지와 자동차, 탄소, 조선 등 전북전략산업의 기존 인프라와 지역특색을 살린 종합발전계획에 수소산업을 연계,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체계적인 수소 산업 육성을 위한 22개 세부과제를 발굴, 검토 중에 있고 연구지원 및 인프라를 활용한 세부추진 전략도 마련한 상태인 만큼 다음 달 안으로 전북 수소산업 중장기 발전계획이 담긴 종합발전계획을 내놓을 수 있을 것이라 한다. 민간부분 참여유도 방안과 수소를 활용한 기술·제품·시스템을 실제 적용한 수소도시를 조성해 신도시모델을 창출하는 내용까지 광범위한 수소산업육성 프로젝트가 담길 전망이다.
수소산업은 분명 희망이다. 빠른 시간 안에 우리의 수소산업경쟁력이 발전해온 것은 사실이지만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은 이미 1990년부터 국가 최대 역점사업으로 대규모 수소개발 프로그램을 본격화 하면서 글로벌 수소경제권 구축의 리더기 되기 위한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오는 2050년이면 글로벌 수소산업 시장 규모가 연간 2조50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 이를 구경만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지난 1월 정부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통해 2030년 수소차·연료전지 세계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놓은 것도 신산업질서에서 주도권을 차지하기 위해서 임은 물론이다.
전북도가 국가 전략에 맞춰 지자체 차원의 수소산업육성에 나서기로 한 것은 이런 흐름에서 바람직하다. 한국이 수소경제시장의 선도국가가 되고 이를 뒷받침하는 국내시장으로 전북을 육성, 뒷받침하겠다는 것은 분명 희망의 청사진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갈 길이 멀다. 많은 지자체들이 전북 못지않게 수소산업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울산, 경남, 부산 등 3개 시도는 동남권수소경제권 모델을 성공시켜 한국수소산업을 선도하겠다며 8월중 공동 워킹그룹까지 발족키로 했다. 특히 울산시는 수소 그린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지정을 요청할 만큼 많은 준비를 했다. 정부의 절대적인 지원과 협력을 요구하는 수소 산업육성이다.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상황일 때 전북의 경쟁력은 무엇일지 더 깊이 고민을 해야 한다. 계획과 구상만으로 될 일이 아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