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과 충남의 주요 식수원인 용담호에 수상태양광이 설치되는데 대한 지역주민들의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철저한 검증과 완벽한 관리를 통해 ‘먹는 물’에는 해가 없도록 하겠다는 것이 수자원공사 입장이지만 수원오염에 대한 논란은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진안군 용담호의 용담댐 주변에 20MW 규모의 수상태양광 설치를 추진 중인 수자원공사는 최근 전북지방환경청에 사전환경영향평가를 의뢰해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이다. 식수원으로 활용되는 곳에 수상태양광을 설치하는 것은 가뭄시 극히 일부에 한해 식수로 활용하고 있는 경남 합천호에 이어 두 번째다. 식수가 활용목적인 저수 댐에 태양광이 설치되는 것은 용담호가 처음인 셈이다.
특히 저수지 태양광 사업이 기자재 설치에 따른 환영오염문제와 주민동의를 구하지 않은 무리한 추진이 문제가 되며 현재 한국농어촌공사의 신규 사업은 전면 중단된 상태란 점에서 지역의 걱정은 크다. 농업용수도 아니고 도민들의 주 식수원 한복판에 태양광이 설치된다는 것 자체를 선뜻 이해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더욱이 태양광 패널에 의한 직접적 요인이라는 결론이 나진 않았지만 지난 2011년 수상태양광이 설치된 합천호에 대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의 모니터링 결과 카드뮴 등 중금속 일부가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된 것은 우려감을 더해주기 충분한 요인이 되고 있다. 용담호의 수상태양광면적은 합천호에 비해 30배 가까이 넓다는 점에서 자칫 전북도민의 생명줄이 심각한 오염줄이 될 수도 있단 걱정에서다.
그동안 수상 태양광에 쓰이는 태양광패널을 비롯해 이를 지탱해 주는 구조물, 수중케이블 등 각종 기자재를 통한 중금속 오염 가능성은 꾸준히 제기돼 왔던 게 사실이다. 각종 오염물질에 의한 부식은 물론 햇빛을 가릴 수밖에 없는 특성상 심해질 수 있는 녹조현상 확산 역시 용담호수질에 악영향을 줄 잠재적 불안 요소라는 지적도 있다. 신재생 에너지 확대 정책이 우리는 물론 전 세계적인 기조로 확대돼야할 정책인 것은 맞지만 국민 건강이나 생명과 직결되는 반환경적인 부담을 감수하면서 까지 강제해야할 정책은 아니란 점에서 논란이 이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수상태양광 패널의 경우 위생안전기준에 적합한 수도용 자재를 사용하도록 의무화돼 있어 환경오염문제는 없다고 단언하지만 주민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기엔 역부족일 만큼 불신은 크다. 면밀한 검토와 함께 주민 의견을 반영한 신중한 사업추진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