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용 전북도 농축수산식품국장

우리나라는 산업화의 격동기 속에서 일구어 낸 산물로 지구상 어느 나라도 이루지 못한 신화적인 경제성장을 이룬 유일한 국가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경제성장으로 우리 국민은 건국 이래 가장 풍요롭고 편리함을 향유하고 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빈부 격차만큼이나 먹거리에 대한 불균형이 사회적 논란으로 불거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비단 우리나라의 문제만은 아닐 것이다.
경제가 성장하고 과학 문명이 발달 할수록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권리인 먹거리에 대한 문제는 항상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는 동시에 암묵적인 무관심으로 치부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다행이 이러한 먹거리 불균형에 대한 반작용으로 2015년 세계 117개 도시 대표들이 모여 ‘먹거리 협약’을 이끌어 낸 것이 바로 ‘밀라노 도시 먹거리 협약(Milan Urban Food Folicy Pact)’이다.
이 협약은 중앙정부가 아닌 지방정부가 주도하는 것으로 푸드 시스템과 푸드플랜의 실행을 위한 공동 모임이라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다행이 우리나라도 많은 지자체에서 밀라노 협약에 가입하고 있으며, 우리 도에서는 완주군이 지난 2017년 가입하였다.
그렇다면, 과연 밀라노 도시협약에 기인한 ‘푸드플랜’의 의미는 무엇이며 우리와의 상관관계는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 것일까? ‘푸드플랜의 의미는 한마디로 먹거리의 생산·유통·소비와 관련된 안전·영양·복지·환경·일자리 등 다양한 이슈를 통합·관리하는 지역 내 먹거리 순환 종합 전략으로 먹거리 분야에서만큼은 불평등을 없애는 역할을 지자체가 책임진다’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옳을 것이며 결국 이러한 모태는 로컬푸드가 기반이 되어야 실현 가능한 일일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공공급식은 지자체와 교육청이 협업으로 추진하는 학교급식이 대표적이다. 학교급식은 지자체와 교육청이 급식비용을 각각 50%를 부담하여 협업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특히 친환경농산물을 경작하는 농업인들에게는 단비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성장기에 있는 어린 학생들에게 안전한 지역농산물을 먹일 수 있어 일석삼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
그렇다면 국민의 기본적인 권리인 먹거리 분야에서만큼은 차별받지 않고 건강한 밥상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일까? 그 지역을 가장 잘 아는 시·군·구에서 푸드플랜에 기초한 먹거리의 생산·유통·소비 등 종합전략을 세워 지역의 선순환 구조를 이끌어내는 것이며 이를 토대로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할 것이다.
특히 푸드플랜에 따라 우선 추진되고 있는 학교급식의 경우는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좀더 많은 관심을 갖고 관련 시설 구축 등 지원을 해나가야 할 것이다. 교육청도 공공급식의 시발점이 되는 학교급식 식재료에 있어서 현재의 친환경농산물뿐만 아니라 일반 농축수산물에 대해서도 지역의 농축수산물이 학교에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관련 계약 등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 농축수산물을 공급하는 농가와 급식을 조리하고 제공하는 학교 조리사, 영양사간의 상호 이해의 폭을 넓히는 노력도 중요하다. 지역에서 키워낼 수 있는 제철 농산물을 시기와 수요에 맞게 키워내기 위해서는 서로간의 협력이 필수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푸드플랜에 따라 학교급식뿐 아니라 공공급식이 확대되면 여러 가지 효과가 기대된다. 행정기관과 유관기관, 병원, 복지시설, 군부대 등의 구내식당은 생산이력이 확실한 지역농산물(로컬푸드)을 이용함으로써 고객의 먹거리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지자체의 공공급식센터 운영비 보전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며 그로 인해 신규 일자리는 증가하고 농촌의 잠재적 실업은 해소 될 것이다. 또 유통단계 감소로 도시 소비자들에게 우수한 농산물을 값싸게 공급할 수 있으며, 귀농인 증가와 더불어 인구 감소문제를 자연스럽게 해결해 나가는 방안이 될 것이다.
푸드플랜에 의한 공공급식의 확대는 국민에게 안전하고 보편적인 영양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농업·농촌에 주어진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미다스(Midas)의 손인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