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출산 문제가 심각하다. 특히 전북의 경우 지난 1분기 출생아 감소율이 전국에서 가장 컸던 것으로 나타나 인구유출 가속화에 이은 출생아수 급감이란 최악의 상황까지 맞아하게 됐다. 나름의 인구대책은 아무런 효과가 없었던 것이고 ‘줄어드는 전북인구’를 속절없이 둬야 하느냐는 비관론 까지 나오며 우려감을 키우고 있다.  
통계청이 지난달 공개한 ‘2019년 3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3월 출생아는 2만7천100명으로 전년 동월 보다 2천900명 줄었다. 1981년 월별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래 가장 적었으며 3만 명 미만의 출생아수를 기록한 것도 처음이라 한다. 출생아수 감소는 분기별 출생아 수 집계에도 영향을 줘 지난 1분기(1~3월) 출생아수 8만3천명은 1분기 기준 역대 최소였다. 올해 3월과 1분기 기준 출산율이 또다시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것이다.
더욱이 우려되는 것은 전국 17개 시도의 올 1분기 출생아 수가 세종시의 10.0% 증가를 제외하고 모두 1분기 보다 줄었지만 전북은 무려 -14.3%의 출생아수 감소를 보이며 가장 큰 감소세를 보였다는 점이다. 전북은 이미 전국 최고 수준의 지역인구 역외유출지역으로 분류되고 있다. 여기에 신생아수 감소비율 역시 17개시도 중 최고라니 과연 ‘전북’이란 행정단위가 언제까지 명맥을 이어갈 수 있을지 조차 걱정스러운 상황이라 해도 전혀 무리가 없을 정도다.
더 큰 문제는 이 같은 흐름이 좀처럼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출산을 많이 하는 30~34세 인구가 줄어드는 인구구조에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결혼 자체를 미루거나 포기하는 젊은 층까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올 3월 신고 된 혼인은 1만9천600건으로 작년 3월보다 3천200건 줄었다. 출산율감소가 전국적인 현상이라 해도 전북은 미래 전망에 비추어 그 폭이나 속도가 타도에 크게 빠를 수밖에 없어 이로 인한 위기 역시 그 만큼 커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인구감소를 막기 위한 많은 대책을 내놨고 지금도 추진 중이라 항변할 수 있겠지만 효과가 없음이 확인되고 있다. 중장기차원에서 지자체는 물론 국가의 적극저인 대응책이 있어야 한다는 당연한 논리로 항변하기엔 지금 상황이 너무 심각하다. 뭐든지 해야 한다. 여성, 청년은 물론 중장년에 이르기 까지 애정을 갖고 지역에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안이 무엇인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