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가 이끄는 수직적 내달림 속, 우리는 계속해서 더 위로 올라서야할까. 우리는 뭘 해야 하고 어떤 걸 내려놔야 할까.

(재)전주문화재단 팔복문화예술공장 전시 ‘수직의 안팎에서’가 31일부터 공장 곳곳에서 열린다.

지역 중진 작가 강용면 엄혁용 채우승과 FoCA 2기 입주작가 김영란 박진영 안준영 최은숙이 참여해 조각, 설치, 가드닝을 선보이는 자리.

전시에선 공간을 수직 축으로 그 안과 밖을 살피며 건축과 거주, 생태와 순환을 열쇳말 삼는다. 특히 조각가와 입주작가 두 섹션으로 나눠 구성한다.

이들은 1층 중정과 3층 옥상을 따라 카페 외벽, 옥상 물탱크 등 여러 곳에, 수직으로 작업을 배치한다.

조각가들이 공간 영속과 소멸을 다루는 첫 번째 섹션에는 강용면 엄혁용 채우승 3명이 참여한다.

강용면은 안팎을 뒤바꾸는 시간 속성을 공간에서 찾는다. 카페 써니 외벽 제비와 용, 해와 바다 등 다양한 존재를 새햐안 아크릴판을 사용, 광고판 모양새로 붙인다.

이는 자개장 외면을 장식하던 동식물 세계처럼 보인다. 옛 시간을 현대적 감각으로 묘사하는데 그림 문자 형상은 빛 나아가 시간의 속성을 갖는다. 낮과 밤 사이 불을 켜면 외벽이 형상을 지지하고 확산하며, 안팎을 역전시켜서다.

엄혁용은 나무가 썩는다는 데 주목한다. ‘책은 나무고 나무는 종이고 종이는 자연이고 자연은 책이고 나무는 자연이니 다시 자연으로 돌려주어야겠다는 생각’이 떠오른단다.

그의 결과물 ‘책 나무’는 공장 굴뚝들이 서 있는 옥상 너머 풍경과 대면, 수직으로 더불어 선다. 도자기와 조각 사이 ‘책-사람’이 이를 바라본다. 수직 안팎 경계가 수평 안팎 너머로 바뀐다. 미술관은 공장인가라는 물음에 그는 호의적으로 답한다.

채우승은 공간 속 경험을 수직 빗금 안팎 흔적으로 드러낸다. 지붕이 없는 1층 중정 수직 통로를 따라 옥상에 흐르도록 매단 자락의 하얀 형상이 그렇다. 이는 웅장한 수직성에서 떨어져 나와 달랑거린다.

그는 내적인 것보다 외부 현상과 그것을 통한 경험을 강조한다. 건물 외벽 시간 옹이도 샅샅이 찾으며 존재 흔적을 확대한다.
두 번째 섹션에선 입주작가 김영란 박진영 안준영 최은숙이 계절별 정원, 텃밭, 풍경을 꾸린다.

1년 간 거주한 경험을 살려 봄부터 겨울까지 1층 아틀리에 풍경과 3층 옥상 정원을 메운다. 지붕 없는 사각 담 안이나 원형 구조물 안 해, 달, 바람, 물, 흙과 더불어 산 경험을 담는 것.

덧없는 환상과 환영은 거부하는 듯하다. 그것들이 솟아올라 누군가 기억에 가닿는다면 수직은 수평인 지평선에 다다라 희미해진다.

첫 번째 섹션은 9월 29일까지, 두 번째 섹션은 내년 1월 27일까지 계속한다. 개막식은 6월 7일 오후 5시며 월요일은 쉰다. 문의는 063-211-0288./이수화기자‧waterflower20@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