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 계승사업 구체화해야

11일은 고부에서 일어난 동학농민군이 정읍 황토현에서 진압에 나선 관군을 물리친 날이다. 이날을 기념일로 정하고 동학농민혁명 125년만에 정부가 주최하는 기념식이 처음으로 열렸다. 오랫동안 ‘민란’으로 폄훼됐지만 특별법 제정을 동해 '동학농민혁명'이란 이름을 찾은 지 15년만이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11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제1회 동학농민혁명 기념식에서 "동학농민혁명은 우리의 반만년 역사에서 가장 오랫동안, 가장 넓은 지역에서, 가장 많은 피를 흘린 민중항쟁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2016년 겨울부터 이듬해 봄까지 계속된 촛불혁명도 잘못된 권력을 백성이 바로잡는다는 동학 정신의 표출이었다"고 말했다. 정부가 기념식을 주최함으로써 동학농민혁명의 가치를 국가적 차원에서 확실히 했다는 의미가 있다. 하지만 정부의 자세변화가 상징적으로만 그쳐서는 안된다. 역사 인식을 바로잡았다면 이제는 동학농민혁명정신을 발전적으로 계승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레서 정부의 기념식 주최 이후에는 ‘동학농민혁명’을 역사적 관점만이 아닌 정책 관점에서도 바라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9일 전북과 대구·경북, 충북연구원이 주최한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 기념 공동세미나’에서도 이런 제언이 이어졌다. 장세길 전북연구원 연구위원은 현대적 계승을 위한 브랜드 전략과 전국 단위 연계 사업의 추진 등 정책적 접근에 방점을 뒀다. 특히, 혁명정신 계승과 국제연대, 현실 실천 행사 개최 및 혁명루트·인본치유길 통합추진체계 구축 등 구체적 사업구상도 제시했다. 곽종무 대구·경북학연구소장은 동학의 인본주의적 평화사상에 주목하고 관련된 유적을 계승·발전시켜 세계적으로 확산하기 위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해야한다고 주장했다. 동학농민혁명 기념일을 중심으로 열기를 유지하고 4월19일, 5월18일 민주화운동기념일 같이 거국적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의견을 내놨다.
모두 동학농민혁명을 올바르게 계승하기 위한 구체적인 노력이 이어져야 한다는 의미다. 피해자 명예 회복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고 국가 서훈, 국가적 차원의 기념 공간 조성 등이 뒤따라야 한다. 전문가들이 제시한 계승방안을 정부차원에서 검토해 수용해 주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