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에서도 번화가에서만 5G가 적용되지, 차를 타고 10분 거리 봉동만 가도 연결이 되지 않아 속도가 확연히 느려지는게 느껴져요."

전주 송천동에 사는 권모씨(28세)는 최근 빠른 속도를 자랑한다는 5G 광고를 보고 핸드폰을 구매했다.
하지만 일부 대학교나 한옥마을, KTX역 근처에서만 5G 수신이 잡히고 시를 벗어나기만 해도 LTE로 전환돼 비싼 요금제를 쓰면서도 낮은 품질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밖에 없었다.

지난달 3일 미국을 따돌리고 세계 최초 5G 상용화라는 목표에 성공 깃발을 꽂은지 어느덧 한 달이 지났지만 소비자들은 냉담한 반응이다. 기대만큼 빠른 품질의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전북은 도심 특정 지역을 제외하고는 사용 자체도 어려워 5G 먹통지대 상황이다.

지난달 30일 (사)소비자시민모임(회장 백대용)이 발표한 '5G 상담분석 및 요금제 표시 광고 조사'에 따르면 5G 이동통신으로 접수된 상담 131건 중 '5G 서비스 품질 불만'이 89.3%(117건)로 가장 많았다.

가입단계 문제(6.9%), 단말기 품절(3.8%)이 뒤를 이었다. 10명중 9명이 서비스에 대해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서비스 품질 불만에 대해선 주로 '사용 도중 자꾸 끊김 현상이 발생한다', '5G 통신이 지원되지 않는 지역이라 LTE를 이용하고 있다' 등이었다.

품질 불만으로 접수한 소비자들은 대부분 개통 취소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 66.7%의 소비자가 개통 취소를 요청했고 요금 감면(19.7%), LTE로 요금제 변경(9.4%), 조속한 품질 개선(4.3%) 순으로 나타났다.

변재일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5G 기지국 신고 장치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3일 기준으로 전북의 경우 SKT는 1,028개, KT는 673개, LGU+는 단 한개의 장치도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통신사를 다 합쳐도 1,700여 개에 불과해 3만여 개가 넘는 서울·경기권에 비해 17배가 넘는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결국 비싼 요금제를 내고 5G를 선택한 도민들은 수도권 고객들에 비해 더 느리고 답답한 서비스를 울며 겨자먹기로 써야 하는 실정이다.

심지어 이통사들은 소비자들이 5G 서비스 불량으로 민원을 제기해도 5G 이용요금 개통 시 5G 전파세기가 약하거나 잡히지 않는 일부 운영지역에는 LTE로 서비스가 전환된다는 사실을 알리고 이에 소비자들이 동의했으므로 피해 보상이 어렵다, 향후 품질 개선을 하겠다는 식의 답변만 늘어놓아 피해보상을 외면하고 있는 것은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KT전북본부 관계자는 "전북지역 KTX전구간, 터미널, 대학교, 대학병원, 고속도로 등을 포함한 주요 스팟에 5G 구축을 진행중에 있다"며 "연말까지 도내 대부분 지역을 커버하는 5G 확대 구축으로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홍민희기자·minihong2503@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