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매년 늘어나는 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 청년들에게 지원금을 직접 주기로 했다. 전북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전북을 떠난 청년 인구는 2016년 8074명, 2017년 8946명, 지난해 1만2922명으로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전북 청년지역정착 지원사업'은 전북 주력산업인 농업, 중소기업, 문화예술계에 종사하는 청년들의 임금 수준을 높여 수도권 지역으로의 이탈을 막겠다는 것이다. 청년들의 유출은 도내 중소기업 등의 인력난으로 이어지고 있어 지역 경제에 부담을 주고 이는 결국 전북 경제 약화로 이어진다는 해석이다.
전북도는 일단 올 하반기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1년간 500명을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대상 청년들에게 월 30만원씩 1년간 360만원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지원금을 월 30만원으로 결정한 것은 타 지역보다 평균 30만원 정도 낮은 임금 보완해주자는 차원이다. 같은 임금이면 전북에서 근무하도록 유도해 전북 청년 인력을 붙잡아두기 위함이다. 또 2021년부터는 지원분야를 확대해 나가 오는 2023년까지 총 1만 명을 지원 계획이라고 한다.
청년 채용 기업에 대한 간접적인 지원 대신 청년들에게 직접 지원키로 한 선택은 나쁘지 않다. 인구 유출을 막는 것이 급선무인 전북에서는 충분히 시도해 볼 만한 정책이다. 다만 운영상 예상되는 어려움을 충분히 검토했는지는 두고 볼 일이다. 시범 사업대상을 선정하는 문제에서부터 지원금의 용도를 규제하는 일 등이다.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한 검토와 대응방안이 마련돼 있어야 한다. 좋은 취지로 시작한 사업이 예기치 못한 문제로 인해 종종 좌초되는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악마는 티테일 있다’는 말처럼 아무리 취지가 좋아도 진행과정이 매끄럽지 못하다면 많은 지지를 받기 어렵다.
직접 지원금을 주는 이런 방식은 불과 얼마전 같으면 자치단체장의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비난을 받을 수도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많은 지자체들이 당사자에게 직접 수당을 지급하는 형태로 많은 정책을 펼치고 있다. 전북도의 '전북 청년지역정착 지원사업'이 제대로 운영돼 청년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 경제에도 보탬이 되는 효자가 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