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를 지역의 새로운 성장 거점도시로 육성키 위해 정부가 추진 중인 기업입주 활성화 방인 전북에서 만큼은 기대 이하의 저조한 실적을 보이고 있다. 혁신도시 시즌2에 대한 기대가 무산됐고 향후 전망 역시 밝지 않다는 성급한 분석까지 나올 정도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3일 올해 1분기에만 전국 10개 혁신도시에 135개의 기업이 추가로 입주, 전체 입주 기업이 828개로 늘었다고 밝혔다. 지난해부터 추진한 혁신도시 활성화 방안이 큰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지난해 하반기 입주한 기업이 119개였던 비교,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는 게 국토부 평가다. 특히 지역별로는 경남에 무려 48개 기업이 입주를 했고 인근 광주ㆍ전남 32개를 비롯해 부산과 대구에도 각각 22개, 20개 기업이 둥지를 틀었다.
그러나 전북에 올해 입주한 기업은 단 한곳도 없고 누적 입주 기업도 단 2개 기업뿐이다. 지난해 2월 정부가 국정과제로 혁신도시 시즌2를 발표하고 8월에는 혁신도시 입주기업 활성화 방안까지 내놓았지만 전북은 활성화 조치 이전과 이후 할 것 없이 철저히 기업들의 외면을 당했던 것이다. 정부가 2022년까지 입주기업 1000개, 고용인원 2만 명을 목표로 혁신도시를 육성 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전북에서 만큼은 남의 일인 셈이다.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분양가가 인근 완주군보다 비싼 것은 물론 이곳에 입주한 공공기관가운데 기업유치를 유도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기관이 별로 없어 기업 유치성과가 저조할 수밖에 없단 것이다. 업무나 지리적 위치 역시 경쟁력에서 뒤처지는게 사실이다. 여기에 금융기관집적화 역시 상당기간 늦어질 수밖에 없어 전망까지도 밝지 않다. 혁신도시 산학연 클러스터 입주 기업과 연구소들에게 임차료나 용지매입 이자 비용의 최대 80%를 3년간 지원하는 전국 공통된 지원에서 기업 유치 활성화를 기대한다는 것은 욕심일 정도로 상황이 좋지 않다.
더구나 정부는 산학연 생태계가 갖춰진 성장거점으로서의 역할은 미흡하다며 추가 지원책을 검토 중이라 한다. 찬바람만 부는 전북혁신도시 경쟁력이 갈수록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러운 이유다. 정부의 차별지원을 기대하기 힘들다면 지자체라도 나서야 한다. 창업에 관심을 가진 소규모 기업의 독려는 물론 고용확대를 기대할 수 있는 기업유치에 이르기 까지 지자역할이 필요한 부분을 파고들어야 한다. 정부만 바라보기엔 상황이 심각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