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소득의 역외유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경제 생태계 구축을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북연구원은 22일 ‘지역소득 역외유출 진단과 대응방향’이라는 이슈브리핑을 통해 “전북도의 소득 역외유출은 순유출 발생 지역 중에서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지만 지역 소득 자체가 낮아 발생하는 착시 현상에서 비롯됐다”면서 “유출 현상을 막기 위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북연구원의 이슈브리핑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북지역 소득 중 7.6%에 해당하는 3조7000억원이 타 지역으로 빠져나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규모는 순유출 지역 중에서 가장 낮은 규모로 소득 유출 문제가 심각하지 않다고 평가할 수도 있지만 유출 규모가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역 소득의 역외유출의 주된 원인은 분공장 및 지사 중심의 산업 구조로 인해 기업 소득이 대부분 본사가 있는 타 지역으로 귀속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도내 사업체 중 본사 비중은 95.2%로 전국 17개 시도 평균 95.4%와 유사한 수준이다. 하지만 매출액 비중은 53.2%로 전국 평균 63.9%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으로 분공장 및 지사의 매출 비중이 높은 지역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도민들의 소득 일부가 타 지역에서 생산된 재화 및 서비스로 지출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나 지역 상품의 소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전북연구원은 지역 소득의 역외 유출을 줄이고 지역내 선순환 경제 체계를 구축하게 된다면 전북의 지역소득은 현재보다 6%의 성장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전북연구원은 ▲기업 유치시 본사 기능 유치 ▲향토 기업 경쟁력 강화한 전북 고유의 본사형 지역 경제 구축 ▲지역화폐, 지역상품권, 전북투어패스 등을 통한 소비 인프라 구축 ▲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산업 체질 개선 등을 제안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