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혁신벨리 속도 필요

최근 농림축산식품부가 스마트팜 혁신벨리 2차 조성지역으로 전남 고흥과 경남 밀양을 선정했다. 지난해 전북 김제와 경북 상주가 대상지로 선정되면서 정부가 오는 2022년까지 조성할 4곳이 모두 선정된 셈이다. 정부는 혁신벨리 조성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혁신벨리는 젊은 스마트팜 전문가를 육성하는 창업보육센터, 기업과 연구기관이 기자재·기술 등을 시험하는 실증단지, 임대형 스마트팜 등이 한데 모인 융복합 클러스터다. 2차에서도 각 지역이 경쟁적으로 공모에 참여했고, 각 지역에 맞는 비전을 제시해 2곳이 선정된 것이다. 고흥은 '남방형 스마트팜' 모델로 아열대 작물 위주로 수입 대체품목을 육성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고흥은 해당 부지 소유권을 한국농어촌공사로부터 2개월 안에 넘겨받을 예정이다. 밀양은 자체 개발한 딸기와 미니파프리카로 청년농을 육성하고, 수출 지향 혁신벨리로 발돋움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일부 농민단체는 생산 과잉과 국내 유통으로 농가가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며 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우리 농식품의 수출경쟁력 확보를 위해 혁신벨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역설하고 있다. 전남의 경우 20여개의 농민단체와 시민단체가 유치 환영의사를 밝히기도 했다는 것이다. 특히, 기존 농가의 생계를 당장 위협할 것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결코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혁신벨리는 생산단지라기보다는 인력 양성과 기술혁신을 위한 공간이며, 생산시설이라고 할 수 있는 임대농장 역시 현신벨리를 모두 합해도 전국 비닐하우스 면적의 0.04%밖에 되지 않는다고 설명한다. 더욱이 대상지를 품목·품종이 차별화된 곳으로 정해 기존 시설 농가와 경쟁하지 않는 점도 강조했다.
전북 김제의 스마트팜 혁신벨리 역시 몇몇 단체의 반대에 추진이 지연됐지만, 우여곡절 끝에 실시설계에 들어간 상태다. 스마트팜은 어차피 다가오는 물결이다. 우리가 피하고 싶다고 비켜가지 않는다. 우리가 머물면 타국의 스마트팜 농작물이 쓰나미처럼 몰려올 것이 자명하다. 하루라도 빨리 젊은 스마트팜 전문가들을 육성하고, 이들이 전국에서 경쟁력 있는 농산물을 생산해 국내외에 판매해야 한다. 이를 통해 각종 스마트팜 기구와 물자 등을 규격화하고, 동남아시아 및 중앙아시아 등에 관련 플랜트를 수출하는 게 중요하다. 당장 인력거꾼의 생계가 어려울 것 같으니 자동차 개발을 멈춰야 한다는 식의 주장은 억지스러움이 크다. 스마트팜 혁신벨리 완성에 속도를 올려 네덜란드와 덴마크 같은 농업선진국들과 플랜트 수출에서 경쟁해야 한다. 한국 스마트팜 개발은 이제 시작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