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특성화고등학교 들이 급격한 취업률 하락과 입학정원 미달에 중도탈락자들까지 급증하는 총체적인 위기에 직면해 있단 지적이다. 이대로라면 학교의 존폐까지를 걱정해야 할 정도란게 관계자들의 우려다.
전북도의회 최영규의원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도내 특성화 졸업생들의 취업률은 지난 2015년 29.54%에서 2016년 33.24%로 다소 늘어나는 듯 했으나 2017년 22.28%로 다시 급락했다. 그리고 30%에도 미치지 못하는 취업률은 신입생모집에도 영향을 미쳐 2019학년도 도내 고교 신입생 접수 결과 특성화고 24곳 중 18곳, 일반고(직업반) 7곳 중 4곳이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이들 학교 모집정원이 총 3370명인데 지원자는 2470명에 그쳤다. 정원에 무려 900명이나 부족했다.
특히 전국17개 시도 교육청 자료에서도 특성화고·마이스터고 등 직업계고 학생 취업률 감소세가 최근 2년 연속 계속되며 위기의 신호를 보내고 있지만 그래도 대부분이 각종 대책을 쏟아내며 50%이상은 유지, 전북의 취업률 보다는 크게 앞서고 있었다. 도내 특성화고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특단의 대책이 서둘러 져야 함을 보여주는 결과로 우수학생 유치 노력에서부터 수준 높은 교육에 기초한 산업현장에서의 적응력 강화 등 실질적인 체질개선 노력이 시급한 상황이다.
실제 경기도의 경우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숙련된 기술인 양성을 위해 특성화고 졸업 후 2년간 지역대학과 연계해 재교육하는 '3+2 지역대학연계 직업교육'을 추진키로 했다. 무시험 전형으로 농업전문학교에 진학해 과학영농기술을 습득케 하는 안에서부터 특성화고와 전문대를 연결해 학비를 감면해 주는 안, 연계기업체에 근무하면서 전문대 졸업후 취업토록 하는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직업교육, 창업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을 위해 교육협동조합을 운영하는 학교에서 2년 동안 창업교육을 받게하는 안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모델을 졸업생들이 선택, 진로를 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맞춤형 교육을 통한 취업기회 확대를 수없이 강조했지만 항상 제자리에 머물고 있는 전북특성화고 정책의 깊은 반성을 요구하는 대목이 아닐수 없다. 전북의 미래 산업역군이 왜 특성화고를 외면하는지, 유독 도내 특성화고의 취업이 저조한 이유가 무엇인지 그 요인을 냉철히 분석해야 한다. 그리고 말뿐이 아닌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특성화고 활성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