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인구유출 증가세가 심각한 수준에 다다르고 있다. ‘지자체 소멸’위기론이 대두되면서 대안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된 지 오래지만 지금과 같은 상황이면 일선시군은 물론이고 전북도 자체가 행정구역에서 사라지는 최악의 결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감이 커질 정도다.
‘2018년 연간 국내이동결과’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여러 이유로 전북을 등진 인구가 25만7000여명에 달했던데 반해 전입해온 새로운 전북인은 24만3000여명에 불과했다. 전북인구 순유출이 1만4000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1년 전인 2017년의 7000여명의 두 배나 되는 인구감소가 지역을 떠났다. 특히 학업이나 가정사 등의 이유도 있었지만 한국지엠군산공장 폐쇄여파로 인한 전북지역의 일자리 및 고용악화가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 타지로 떠날 수밖에 없었던 가장 큰 이유로 분석되면서 지역의 오랜 과제인 ‘일자리’ 대책의 시급성이 현안이 되고 있다. 
저 출산 심화 현상이 고착화된데 이어 그나마 인구마저 생계를 위해 수도권으로 떠나가는 지금상황의 가장 큰 피해는 경제적 낙후지역이 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전국 261개 시·군·구 중 총 92개(35%) 지역이 고 위험, 소멸위험진입단계로 분류됐지만 전북은 65세 이상 고령인구 대비 20~39세 여성인구의 비중을 의미하는 소멸위험지수가 0.56이었다. 지수가 0.5이하일 경우 이미 소멸 진입단계로 분류하며 극적인 전환의 계기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 소멸위험이 큰 것으로 본다는 점에서 전북은 소멸진입을 앞둔 심각한 주의단계에 이미 진입했다. 여기에 도내 공동체의 68.8%가 소멸위험지역이란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은 더욱 크다. 아이의 울음소리가 줄어들고 매년 수천수만 명씩의 인구가 지역을 등지고 있으니 빠르면 5~30년 안에 사라지는 지역이 속출할 수 있다는 분석은 공포이기 까지 하다.
지난 10년간 서울 인구가 230만 명 가까이 늘어나는 동안 지역은 속수무책으로 바라만 봤다. 백약이 무효란 표현이 나올 만큼 서울과 수도권을 향하는 전북인 을 잡는데 역부족 이었다. 정부와 지자체의 긴밀한 협력을 통한 대책마련이 정말 시급하다. 양질의 일자리 제공을 위한 정부와 기업, 지자체의 노력은 물론 중앙공공기관의 지방이전 시너지 극대화를 위한 지방분권사업 가속화, 고령화돼가는 농촌의 경쟁력 강화 방안마련에 이르기 까지 사회 전반에 걸친 지방화대책에 머리를 맞대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