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행 5년차를 맞은 전북 원도심학교가 다소 정체됐다는 지적이다.

모호한 기준으로 어울림학교 등 다른 종류의 학교처럼 특색 있는 교육과정에 가닿지 못한다는 판단에서다.

‘원도심학교’는 신도심 이동으로 공동화 현상이 발생, 학생 수가 급감하거나 저소득층 학생 수가 많은 곳을 가리킨다.

전북교육청은 2014년 전북교육정책연구소가 발표한 ‘원도심학교 활성화 방안 연구’를 토대로 같은 해 전주 군산 익산 3개 지역 47곳을 원도심학교로 지정하고 2015년부터 본격 시행했다.

2019년에는 전주 25곳, 군산 10곳, 익산 13곳 모두 48곳(초 37곳, 중 11곳)을 운영하는데 도심지로 이전하는 2곳 지정을 취소하고 도시형 어울림학교 3곳을 추가한 데 따른 것이다.

도시형 어울림학교는 명칭상 어울림학교로 보이나 성격상 원도심학교에 가까워 원도심학교에 포함키로 했다. 현 원도심학교 종류 3가지에 공동통학구형을 추가해, 원도심학교 종류는 모두 4가지가 되며 명칭은 공동통학구형과 도시형 어울림학교를 병행한다.

여기에는 양질의 교육여건을 조성할 수 있도록 교육 환경과 시설 개선 약 167억 원을 지원한다. 원도심 특색을 살린 맞춤형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지원금도 주어진다. 4개 종류 중 ‘학교-지역 협력형’ 33곳에 10억 5천 600만 원, ‘학교 간 협력형’ 6곳에 1억 9천 500만 원, ‘교육돋움형(교육소외계층)’ 6곳에 1억 9천 200만 원, ‘공동통학구형’ 3곳에 9천 600만 원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원도심학교를 활성화하기엔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원도심학교 지정 기준이 불분명하고 현재를 반영하지 않아, 취지인 ‘특성화를 통한 지역교육격차 해소’를 실현할 수 없다는 것.

교육청은 전북교육정책연구소 방안을 토대로 원도심학교를 유형화했다. 기준이 된 7가지 요소는 학생 수 감소 비율, 저소득층 비율, 시설환경 여건, 학생과 학부모 실태, 당면문제의 어려움, 활성화 요구정도, 제도적 기반 확충이다.

점수를 매겨 차등을 둔다 해도 원론적이라 학교를 신규지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원도심학교 지정기간은 3년이지만 현 원도심학교 48곳 중 새로 지정된 건 도시형 어울림학교 3교뿐이다.

또한 위 기준들은 교육여건이 대다수인데 원도심학교를 단순히 교육여건으로 판단할 수 없으며 이럴 경우 지정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더불어 복지와 지원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이다.

원도심학교를 특성화하려면 시대에 맞는 분명한 기준을 마련하고 지정과 취소가 원활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우리로서도 새로운 기준이 필요하다 보고 정책연구소 측에 연구를 요청할 계획”이라며 “원도심학교가 다른 학교 종류에 비해 방향성이 부족하다는 목소리도 있다. 좀 더 특색 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하도록 힘쓰겠다”고 답했다./이수화기자‧waterflower20@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