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장기간 진통을 겪어온 광주형일자리 타결에 힘입어 제2, 제3의 지역상생형 일자리 모델을 강력 추진 중인 가운데, 사실상 1순위로 거론되고 있는 전북(군산)형 일자리 사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최근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수석의 “상반기 중 최소한 2곳이 급물살을 탈수도 있다. 정부 차원의 추가 지원정책도 관련부처에서 이달 중 발표할 것”이라는 발언이 전해지면서 전북형일자리 사업의 구체적 로드맵이 수립된 것 아니냐는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전북도는 정 수석의 ‘급물살’ 발언에 대해 “긍정적 시그널(신호)로 해석한다. 도와 맥을 같이한다. 이전보다 (논의가)전진된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맞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도 도정의 전반적 사업인 만큼, ‘현재 다각적으로 논의 중’이라는 원론적 입장을 내비추고 있는 상태다.
현재 도는 GM 군산공장과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를 활용한 3가지 모델을 구상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도는 자동차(완성차) 생산 대기업 유치를 통한 GM 군산공장 활용과 중소기업 컨소시엄 형태의 SPC(특수목적법인)를 메인기업으로 하는 모델을 구상 중이다.
조선 산업의 경우,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활용을 바탕으로 한 재가동을 원칙으로 사실상 고사 상태의 생태계를 살리기 위한 일감확보(선박 블록 우선 배정)에 방점을 두고, 블록 물류비 등을 지원하는 모델을 제시했다.
전북형 일자리 사업 추진의 가장 큰 관건은 메인기업(메인플레이어)의 확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메인기업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GM 과의 협상도 큰 의미가 없을뿐더러 정부를 향한 지원 요청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도는 “현재 전북은 광주형 일자리와는 다른 개괄적 대타협 모델을 구상 중에 있으며, 메인기업 및 기업군(중소기업) 유치를 위해 물밑에서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도는 최근 전국적 화두가 되고 있는 전북형 일자리 사업에 대해 ‘장기간 플랜’이 될 수 있음도 시사했다.
도 관계자는 “현재 상황을 그대로 말하자면 특정 기업을 대상으로 한 논의 단계는 아니다. (전반적)논의 중인 것은 맞지만 구체적 로드맵 등이 정해진 상태도 아니다”고 언급하며, 도민 공감대 형성을 위한 다각적인 의견 수렴 등을 통해 ‘step-by-step’ 추진을 예고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기업 유치 및 부지 매각 등의 산적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자동차(GM) 분야보다 현대중공업의 의지 표명으로도 해결될 수 있는 블록 우선배정(차후 재가동)을 통한 조선 산업의 일자리 사업 추진이 먼저 이뤄질 것이란 전망도 제시되고 있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