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항을 거듭했던 ‘광주형일자리’투자협약이 타결되면서 심각한 경제위기로 고사 직전에 놓인 군산지역 ‘군산형일자리’추진 필요성이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정부역시 새로운 노사상생 일자리창출 모델차원에서 긍정적 검토를 시사 한만큼 지역의 기대감은 그 어느 보다 높다.
지난달 31일 체결된 광주광역시와 현대 차의 일자리투자협약은 ‘반값 임금’과 ‘임금단체협약 유예’를 골자로 한다. 고임금, 강성노조란 이미지로 각인된 자동차노조 반발이 이어지고는 있지만 일단 타결된 직원 1000명 직접고용과 주44시간 근무에 연봉3500만원(복지지원제외)의 조건만으로도 지역에선 ‘큰일을 했다’며 반길 만큼 파급효과는 크다. 간접효과 1만 명 추가고용을 제외하고도 말이다.
GM군산공장 폐쇄 후 연관기업이 무더기로 문을 닫고 실직자가 급증해 지역경제 붕괴론까지 거론되는 군산 입장에선 너무도 부러운 결정이 아닐 수 없다. 광주형일자리 협상과정과 결과를 주목했던 건 이 모델의 성패여부가 곧 군산형일자리로 연계되느냐 아니냐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 였기 때문이다.
다행이 정부가 올 상반기 안에 전국 2~3곳 지방자치단체에 이런 유형의 일자리를 확대 적용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군산은 자동차부품과 관련된 일자리모델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재인대통령이 “‘상생형 지역일자리’를 늘리는 것은 지역경제 회복과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이라고 공언했고 민주당 이해찬 대표 역시 지난해 11월 “광주형 일자리 다음으로 군산형 일자리를 준비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여기에 당장 막대한 추가비용이 들어가야 할 광주형일자리와 달리 군산은 한국GM, 현대중공업군산조선등의 시설을 당장 활용할 수 있단 점에서 그 효과 역시 즉각적일 수 있다. 전북도가 삼정전장사업유치를 희망하고 있고 또 SK그룹 등도 이들 공장인수를 검토 중인 것도 긍정적이다. 지역 여건이 조성된 만큼 정부의 책임 있는 역할과 정치권의 약속만 지켜진다면 언제든 사업이 가능하다는 진단은 그래서 나온다.
물론 여기엔 노동계의 협조와 함께 자본을 가진 기업 투자 유치를 위한 정부, 지자체 노력이 필수조건이다. 지자체가 구애하고 정부가 협조한다 해도 노사 민정이 하나 되지 않고는 다시금 힘든 가시밭길을 걸어야 하기 때문이다. 모두가 상생하자는 이해관계자들의 통 큰 합의를 이끌어 내기 위한 준비를 지금 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