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오는 27~28일로 공식 확정됨에 따라 문재인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도 중대 분수령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반도 문제 운전자로서 문 대통령은 싱가포르 회담 이후 교착상태에 빠진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을 중재하고 촉진하는데 공을 들여온 만큼, 베트남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반드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성과가 나오기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이번 북미 담판은 향후 남북관계 발전의 동력을 크게 좌우할 수 있는 열쇠를 쥐고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6일 2차 북미정상회담의 시기와 장소가 공식화된 데 대해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에서 “북미 정상은 이미 싱가포르에서 70년 적대의 역사를 씻어내는 첫발을 뗀 바 있다”며 “이제 베트남에서 더욱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진전의 발걸음을 내디뎌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베트남은 미국과 총칼을 겨눈 사이지만 이제 친구가 됐다”며 “북한과 미국이 새 역사를 써나가기에 베트남은 더없이 좋은 배경이 되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2차 북미 핵 담판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경우 남북미중 종전선언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달 말 시진핑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종전선언에 대한 기대감은 더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아울러 4.27 판문점선언과 9.19 평양공동선언 등에 명시된 남북협력 사업 논의에 급격히 속도가 붙으며 정부의 대북정책에 자연스럽게 힘이 실릴 수 있을 것으로 보여 벌써부터 회담 결과에 촉각이 모아진다.

다만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베트남 합류를 통한 남북미 정상회담 가능성에는 말을 아끼며 “너무 이른 얘기다. 더 차분히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2차 북미정상회담 일정 공식화로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방 시기도 초미의 관심사다.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 일정이 확정된 만큼 김 위원장의 답방도 가시권에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10일 신년기자회견에서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에 대해 “2차 북미정상회담이 먼저 이뤄지면 김 위원장의 답방도 더 순조롭게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는 3~4월 중순 사이에 유력하게 점쳐진다.

한편 설 연휴를 양산 사저에서 보낸 문 대통령은 6일 업무에 복귀해 노영민 비서실장을 비롯한 청와대 수석급 이상 참모진들의 세배를 받고 평양식 온반으로 점심을 함께 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청와대=최홍은기자·hiimnew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