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기찬<헬스케어크레임스엔드멘내지멘트(주)>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이른바 인구 오너스(onus, 고령인구가 증가하면서 성장세가 둔화되는 현상)시대라 할 수 있다.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소득 및 생활수준의 향상, 보건위생의 개선과 의학의 발달로 빠르게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것이다. 오래 산다는 것은 개인에게 분명 축복이지만 준비되지 못한 개인에게도 과연 축복일까? 육체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삶은 개인의 불행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국가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노인복지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국가재정부담의 증가는 결국 후속세대의 부담으로 이어져 세대 간의 갈등으로 확대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는 없는 것일까? 미국의 식품마케팅연구소의 조사에 의하면 소비자의 65%는 식품섭취를 통해 건강상태를 조절하거나 치유하고자 한다. 또한 소비자들은 음식이나 건강기능식품의 섭취를 통해 개인 건강을 관리하고, 자연스럽게 의료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처럼 최근의 소비자들은 식이를 통해 단순히 신체 대사를 위한 필수 영양소를 섭취하는 차원에 그치지 않고, 최적의 영양 상태를 얻기 위한 목적을 강하게 갖고 있다. 식이와 영양에 대한 이와 같은 관점 변화는 무엇보다 고령화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는데, 고령화로 만성 질환이 증가하고 의료비 부담이 높아지자 건강을 향상시키고 질병의 발생 위험을 줄이는 차원에서 식품의 기능적 측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게 된 것이다. 수요 측면에서 본다면 건강기능식품은 장기적인 트렌드로 무난히 자리 잡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규정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이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한 식품을 말하는데 “건강식품”, “자연식품”, “천연식품”과는 분명히 다르다. 이러한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건강 지향적 소비 경향 증가, 신제품 개발 가속화로 날이 갈수록 그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국내 건강기능식품 생산액은 제도가 시행된 2004년 2,506억 원에서 2010년에는 1조원 시장을 넘어섰고, 2016년에는 전년 대비 17% 증가한 2조1,260억 원으로 2조원을 넘었다. 2017년에는 2조2,374억 원으로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인구 구조나 소득의 요인에 의해 선진국에서 높은 성장률을 지속하는 일종의 ‘선진국형’ 시장으로 파악된다. 글로벌 의약 시장의 경우 5% 수준, 화장품 시장의 경우 4% 수준의 성장률을 보이는 것을 감안한다면,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성장세는 상당히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소득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최근에는 중국과 인도, 브라질 등 신흥 개발국에서도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수요가 크게 높아지는 추세이기 때문에, 글로벌 차원에서도 주목할 만한 잠재력을 지닌 시장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렇다면 농생명산업의 메카라 하는 우리 전북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연구개발 현황은 어떨까? 전북에는 대학, 연구소, 한국식품연구원 및 농진청을 비롯한 우수한 연구인프라가 훌륭하게 구축되어 있다. 그러함에도 각 기관별로 정부부처별 R&D연구비에 의존하여 독립적으로 연구개발이 추진되어 건강기능식품 개발 실적이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건강기능식품 개발을 위해서는 충분한 예산은 물론 연구기간도 필수적이지만 정부 R&D연구는 이들 예산 및 기간이 제한적이다 보니 산업적으로 활용 가능한 연구실적물이 미비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를 극복하고 해결하기 위한 도내 건강기능식품 연구개발사업이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전북 및 도내 6개 지자체들이 참여하여 향토건강식품 명품화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지자체별 품질이 우수하고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한 향토소재를 건강기능식품으로 개발하는 이 사업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어 2019년부터는 결과물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농생명산업의 주도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일회성 연구개발사업보다는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전북 및 각 지자체의 지원이 필요하다. 물론 민간주도로 이루어져야 할 사업이 관 주도로 이루어짐으로써 야기되는 문제가 발생될 여지가 있으나 열악한 식품가공산업 규모를 감안한다면 초기에는 관 주도의 R&D연구개발사업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밖에는 없을 것이다. 다만 성공적인 연구개발사업이 되기 위해서는 관 측면에서는 관조직 특유의 유연성 부족을 최대한 탈피하고 관리감독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해야 할 것이다. 또 민간기업에서는 개발하기 쉬운 제품화보다는 소비자 니즈가 있는 상품화를 이룬다면 진정한 의미의 농생명산업 메카로서의 전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