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인구 수치의 마지막 마지노선으로 제시돼온 ‘185만’이 지난해 말 붕괴됐다.
정부와 전북도, 각 시·군이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 갖가지 정책과 이벤트를 매년 쏟아내고 있지만, 저출산 및 고령화, 경제활동 인구 전출 등의 복합적 악재들에 대한 해결에는 가시적 답안을 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저출산과 고령화 등의 근본적 요인과 함께 최근 잇단 지역 주력 산업들의 붕괴 또한 청년 인구의 유출을 급속화 했다는 분석이 제기되면서 정부 차원의 해결 방안 제시와 도를 비롯한 지자체들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노력도 함께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4일 행정안전부와 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북 지역 총 인구(주민등록 기준)는 183만6832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7년 말 185만4607명에 비해 1만7775명이 감소, 5년 전인 2014년과 비교할 때는 3만4728명이 줄어든 것이다.
최근 5년간 전북 인구 추이를 살펴보면, 지난 2014년 187만1560명 이었던 도내 총 인구는 2015년 186만9711명(전년 대비 -1849명), 2016년 186만4791명(-4920명), 2017년 185만4607명(-1만184명)으로 감소했고, 지난해에는 1만7775명이 줄어들면서 183만6832명을 기록했다.
지속적 감소추세와 함께 지난해의 경우 감소폭이 상당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정부와 지자체의 특단의 정책이 선행되지 않을 시 수년 안에 180만 붕괴도 가능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도내에서 인구감소가 가장 두드러진 지역은 익산시로 지난해 말 30만 명대가 붕괴됐다.
익산시는 2014년 30만4117명 인구를 기록하며 전주에 이은 전북 제2도시의 면모를 지켰지만, 2015년 2056명, 2016년 1582명, 2017년 292명, 지난해 6125명 등 최근 5년간 1만 명이 넘는 인구가 감소하면서 위기를 맞고 있다.
군산시의 경우, 2014년 27만8098명을 기준으로 2015년 300명의 인구가 증가했지만 2016년 감소(-847명)로 돌아섰고, 현대중공업 군산공장 가동중단(2017년 7월)과 한국GM 군산공장 폐쇄(지난해 5월)가 결정됐던 2017년과 지난해에는 각각 2554명, 2352명 등 인구감소가 뚜렷한 모습을 보였다.
2017년 65만 명이 붕괴됐던 전주시는 지난해 2127명의 인구가 증가하면서 1년 만에 다시 65만 명대에 진입했다.
2014년 9만377명을 시작으로 3년 간 인구가 증가(2015년 4926명, 2016년 177명, 2017년 495명)했던 완주군도 지난해 인구감소 추세(-1531명)는 거스르지 못했지만, 최근 5년간 4067명의 인구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5년 305명의 깜짝 인구증가로 3만 명대에 재진입 했던 임실군은 이후 소폭 감소세(2016년 -74명, 2017년 -35명, 지난해 -90명)를 보이고 있지만, 최근 5년 간 완주군과 함께 증가세(+106명)를 보인 지역으로 구분됐다. 
도 관계자는 “도와 각 시·군도 인구 감소 추세에 대해 상당한 우려를 가지고 있다”면서 “현재 도는 인구정책 T/F를 구성한 상태고, 인구조례 제정과 민·관위원회 구성·운영 등 추진체계를 마련한 상태며, 빠르면 이번 주에 5개년 인구정책 종합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말 기준 지역별 인구수는 ▲전주(65만1091명-완산 34만5065, 덕진 30만6026) ▲익산(29만4062명) ▲군산(27만2645명) ▲정읍(11만2169명) ▲완주(9만4444명) ▲김제(8만5331명) ▲남원(8만2554명) ▲고창(5만7041명) ▲부안(5만4441명) ▲임실(3만72명) ▲순창(2만9209명) ▲진안(2만5963명) ▲무주(2만4589명) ▲장수(2만3221명) 등 총 183만6832명이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