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내 일부 지방자치단체들의 안전지수가 기대이하인 것으로 나타나 지역주민들이 안전 사각지대에 방치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행정안전부가 지난 11일 발표한 ‘2018년 지역안전지수’에 따르면 도내에서 가장 안전한 지자체는 완주군이고 그 반대인 지역은 정읍이었다. 전국 시·도와 시·군·구를 대상으로 교통사고,화재,범죄,생활안전,자살,감염병,자연재해등 7개 분야의 안전수준을 평가해 각각 1~5등급으로 계량화 분류한 지역안전지수는 1등급에 가까울수록 각종 위험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 분류에서 전북의 경우 도는 물론이고 14개 지자체 상당수의 안전수준이 우려할 만한 수준이었다. 특히 정읍시를 비롯해, 남원시와 김제시는 자살과 화재, 교통 등 무려 3개 분야에서 최하위인 5등급을 받았다. 단 한 개 항목에서도 1등급을 받는 시는 전무했고 전북도 역시 1등급은 하나도 없었다. 오히려 자살과 교통사고 분야에서 하위권인 4등급을 받는 불명예를 안았다. 군지역인 장수, 진안, 임실만이 화재, 범죄, 감염병 분야에서 1등급을 받았을 뿐이다. 경기도가 5개 분야에서 1등급을 받고 화재를 제외한 4개 분야에선 4년 연속 1등급을 받은 것과 비교, 너무도 차이가 나는 결과가 아닐 수 없다.
도내 지자체들의 안전 불감도가 도를 한참 넘은 것으로 밖엔 이해될 수 없는 부분이다. 지난 2015년 도입돼 지자체별 안전도와 안전수준을 매년 평가하는 지표임에도 지속적이고 꾸준히 1등급을 받아내는 지자체가 있는가 하면 전북처럼 3년 연속 5등급에 머무는 지자체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아도 ‘탈 전북’에 대한 우려가 심각한 수준이고 귀농귀촌을 역점사업중 하나로 추진 중인 전북인데 자살율 높고 교통사고 많고 화재와 생활안전 역시 양호하지 않다는 지표 공개는 참으로 큰 우려감을 주기 충분한 악재가 아닐 수 없다.
하위등급을 받은 지역 주민들의 우려가 커지자 지역특성배제 등 평가방법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지만 타 지역 역시 같은 기준을 적용했단 점에서 이는 이유가 되지 않는다. 오히려 주민안전에 소홀했음을 인정하고 취약분야에 대한 원인 분석과 개선대책을 서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게 맞다. 안전한 정주여건 조성이 실패하면 전북의 미래는 없다. 전북지자체 들은 심각하게 반성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