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는 지난 8월 전남과의 치열한 경쟁 끝에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을 어렵게 유치에 성공했다.

도는 농업에 ICT(정보통신기술)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팜을 육성해 청년 일자리 창출과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대안으로 사업을 구상하고 있지만 처음 계획과 다르게 삐걱거리고 있다.

농민단체와 환경단체는 과잉생산에 따른 농산물 가격 폭락, 환경훼손 등을 이유로 사업의 전면 재검토를 요구하며 논쟁을 벌이고 있다.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농민·환경단체들의 주장과 도의 입장을 살펴본다.

△농민·환경단체 주장

농민·환경단체들은 농산물 가격폭락과 생태계 보호 등을 주장하며 김제 백구면에 조성될 스마트팜 혁신밸리 재검토를 주장하고 있다.

먼저 농민단체는 과잉생산에 따른 농산물 가격 폭락, 기존 농가 배제 등의 이유로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을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스마트팜 밸리에서 생산된 파프리카, 토마토, 딸기가 수출 시장 개척이 안되면 국산 농산물과 경쟁하게 된다면서 주요농산물 공공수급제 도입 없는 생산시설 확대 정책은 필연 실패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농민단체는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은 농업계의 4대강 사업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농후하다”며 “농업생산을 통한 청년농 유입은 오간데 없고 건설사업자만 배불리는 사업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스마트팜 혁신밸리 사업 예정지인 김제시 백구의 환경훼손 논란도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환경단체는 스마트팜 혁신밸리 사업은 자연환경 훼손은 물론 우리 농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클 것이라는 이유로 사업의 전면 재검토 및 부지 이전을 촉구하고 있다.

단체는 스마트팜 밸리사업이 ‘우리 농업을 지키고 지역에 활력을 불어 넣기 위한 사업이라면 먼저 지역의 환경과 농업에 미치는 영향을 따져보는 것이 우선’인데도 불구하고 전북도와 김제시가 일방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업이 진행될 부용제는 멸종위기종 독미나리와 가시연꽃이 서식하고 있어 전북도로부터 습지등급 ‘상’으로 평가 받은 도내 18개 우수습지 가운데 하나로 자연사적 가치가 큰 습지로 평가 받고 있다.

△전북도 입장

도는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 대상지로 선정돼 ‘아시아 농생명 허브’를 향한 첫 단추를 꿰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도의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 계획서’를 보면 혁신밸리는 전라권을 비롯해 우리나라 중부권의 미래농업을 이끌어갈 핵심시설로 ‘보육센터’와 ‘스마트팜 실증단지’, ‘임대형 스마트팜 단지’ 등이 늦어도 오는 2021년까지 들어선다.

당장 보육센터에서는 미래농업을 이끌어갈 청년층을 대상으로 스마트팜을 중심에 놓고 교육활동을 진행한다. 교육은 입문교육과 현장실습교육, 경영실습교육 등 구체적으로 진행되며 교육·경영형 실습농장에서 실습을 마친 청년농들에게 2인 기준으로 3630㎡의 임대형 스마트팜 첨단온실이 제공된다.

도는 일단 습지 식물 보전은 환경영향평가를 통해 해결책을 찾겠다면서 청년창업농 육성 등 사업 효과를 공유하는 데 힘을 쏟겠다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사업으로 최근 10년간 농업의 실질성장률과 정체된 농업소득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내 농촌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사업 추진으로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부분이 많이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을 이해해주면 잘 풀릴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