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내외가 지난 9월 20일 오전 백두산 천지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평양공동취재단

지난달 30일 G20 정상회의 기간에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김 위원장의 연내 서울 방문이 실현될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특히 문 대통령이 순방 중 기자간담회에서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언급하면서 성사 기대감은 더 높아진 상황이다.

또 청와대 고위관계자도 “그동안의 김 위원장의 언행을 보면 자기가 얘기한 것은 꼭 지켰다”고 언급해 우회적으로 김 위원장이 연내 답방을 결정할 것을 촉구하는 모양새다.

물론 답방의 최종 결단은 김 위원장에게 달려있다. 다만 청와대로서는 일단 모든 가능성을 염두하고 일정과 숙소 등을 준비한다는 분위기다.

연내 답방 일정으로는 18~20일이 점쳐진다. 이 시기는 김 위원장의 부친인 고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 7주기인 17일 직후라는 점에서 성사 가능성이 거론된다.

의전과 경호 등 실무준비 기간이 20여일 남짓으로 촉박한 감은 있지만, 일부에서는 청와대가 김 위원장이 묵을 숙소로 서울시내 특급호텔 예약과 프레스센터 대관 등을 진행 중이라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앞서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답방과 관련해 “북한에서 가장 신경 쓸 부분이 경호나 안전 문제 아닐까 생각한다”며 “경호나 안전보장을 위해 교통 등 국민께 불편이 초래되는 부분이 있다면 국민이 양해해주셔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김 위원장의 답방이 성사되면 기업현장 시찰이나 KTX탑승 등의 경제건설 관련 일정과 함께 한라산 등반도 예상된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김 위원장의 경호와 의전 부분에 특별히 신경을 곤두세우고 만전을 기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북미 대화가 재개되지 않은 상황에서 김 위원장의 답방이 내년으로 넘어갈 것이라는 예상도 있다. 문 대통령도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보다 중요한 것은 답방을 통한 비핵화 진전”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북한 최고지도자의 서울 방문이 70년만에 거론되며 그 결과가 기대되는 만큼, 연내 답방 성사를 위한 김 위원장의 결단이 주목된다.

한편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6일 오후까지도 김 위원장 답방과 관련 "북한으로부터 소식이 안왔다"고 출입기자단에 전했다.

/청와대=최홍은기자·hiimnew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