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항생제 바르게 사용해야

 지난해 살충제 성분이 달걀에서 검출되면서 소비자들의 축산물에 대한 불신이 극도에 달했다. 동물용 의약품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각종 안정성 문제가 불거지고 있는데, 관리감독을 책임지는 정부 탓만 할 게 아니라는 목소리가 크다. 축산 농가들이 무분별하게 항생제를 남용하면서 각종 질병이 동물과 사람에게 나타나는 등 부작용이 크다. 과거 가축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항생제가 사료에 투입됐는데, 이후 항생제 오남용으로 동물과 사람에게서 슈퍼박테리아가 발견됐다. 이에 정부는 2011년부터 사료 내 항생제 투입을 전면 금지하고, 수의사 처방을 강화하는 대책을 시행했다. 그런데 최근 항생제 판매량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소 돼지 닭에 사용되는 항생제 판매량이 2011년부터 줄다가 2017년엔 이전보다 증가한 755톤이 판매됐다. 우리보다 3배인 연간 3천만마리 이상의 돼지를 키우는 덴마크의 2015년 판매량은 109톤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지나해 항생제 등의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축산물도 2013년 보다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생제 오남용은 공장식 축산과도 깊은 관계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공장식 사육은 가축 면역력을 떨어뜨리고, 질병에 취약해지기 때문에 항생제를 크게 늘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산란계의 경우 A4 용지보다 좁은 곳에서 사육되다 보니 면역력은 사라지고 질병에 취약하다는 것이다. 축산농들이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항생제 증액 투여다. 결국, 소비자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공장식 사육환경을 개선하고 동물용 의약품 사용에 대한 농가의 철저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최근 구제역 백신을 잘못 투여하면서 돼지의 부패한 목살이 대거 유통됐고, 이는 소비자들이 수입산 목살을 찾는 경향으로 이어져 우리 축산이 어려워지는 악순환을 겪었다. 농가 스스로 노력하지 않는다면 소비자 신뢰를 회복하기는 힘들다. 정부의 농가 교육도 병행돼야 하겠지만, 농가가 동물의약품에 대한 경각심을 갖지 않는다면 축산업의 지속 가능성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아울러 과도한 밀집사육도 동물과 인간 모두에게 위험한 질병을 가져올 수 있는 만큼 지속적이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다. 국민은 건강하지 않은 먹거리를 제공하는 국내 축산업을 보호하자는데 결코 동의하지 않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