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새 도래 계절에 들면서 올해도 어김없이 조류인플루엔자(AI) 공포가 일기 시작하고 있다. 전북 군산, 경기 파주, 충북 청주 등 전국의 주요 철새도래지 하천 주변의 야생 조류 분변서 AI 항원이 검출된 데 따른 것이다.
  군산 만경강서 검출된 항원이 일단은 저병원성으로 밝혀졌다. 그렇지만 언제 고병원성 항원 검출로 AI가 급속 확산될는지는 알 수 없다. 방역당국이 전범대로 즉각 검출지역 반경 10km 내를 야생 조수류 예찰지역으로 정하고 가금류 이동 통제와 소독 강화 조치를 취했다.
  방역당국은 고병원성 항원에 감염된 가금류가 발견되면 즉시 지역 내 전 가금류에 대한 예방적 살 처분에 들어가게 된다. 살 처분은 감염 여부에 관계없이 건강한 가금류도 무차별로 집행된다. 가축전염병예방법에 따른 조치다.
  방역당국으로서는 합법적인 행정행위겠으나 동물단체들은 동물학살로 비판해왔다. 올 철새도래 계절에도 AI 발생 위험이 높다. 군산 검출지역 내 가금류만 80만 마리다. 또 다시 '동물학살’극이 벌어질 판이다.
  무차별 살 처분이 무모한 동물학살극임은 익산 참사랑농장의 실증적 사례서 공감하지 않을 수 없다. AI 발생지역이라는 이유만으로 건강한 산란계 5천 마리에 대해 축산당국이 내린 살 처분 명령을 불복해 법정투쟁으로 2년째 버텨왔다. 인접 산란계들이 모두 살 처분됐으나 참사랑농장 산란계들은 여전히 건강하다.
  대규모 방역과 대량 살 처분으로 예방활동을 벌여왔는데도 AI가 근절은커녕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 이미 토착화되지 않았는가 하는 의문마저 없지 않다. 밀집 축사와 밀식 사육이 근본 원인으로 이를 개선하지 않는 한 가축 전염병 근절은 불가능하다는 게 정설이다.
   그런데도 축산당국은 이의 근원적인 개선을 뒷전으로 밀려놓고 AI만 발생하면 무차별 살 처분과 피해 보상을 반복하고 있다. 2011년 이후 7년 사이 AI와 구제역에 따른 가금류 및 우제류 살 처분이 7천6백여만 마리에 보상액이 무려 2조2천여억 원으로 알려졌다.
  축산재앙에 다름 아니다. 후진적 밀집축사 밀식사육의 근원적 개선이 절실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