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재난급 폭염이 이어지며 국민들의 피해는 물론, 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농촌에서는 농작물이 시들하고, 돼지와 닭이 죽어나간다. 여름과일과 야채 등 수량이 모자라자 농민들은 야간에 작업하고 환풍기를 돌리는 등 농작물 지키기에 고생하고 있다. 폭염이 지속되는데 정부는 대책을 마련하기 힘들다. 자연재해를 앞두고 어떤 대책을 만들어야 한단 말인가. 국민들의 전기료를 아껴주기 위해 7~8월 누진제를 완화한 게 정부 대책의 전부다. 이 때문에 한전은 수천억원의 적자를 감수해야 한다. 농업 관련 기관들은 농촌 피해 현황을 파악하기에만 급급할 뿐이다. 추후 피해를 회복할 비용은 천문학적일 수밖에 없다.
이에 폭염을 기술적으로 극복할 '인공강우'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초열대야 지속 등 기록적 폭염으로 인한 국가와 국민적 손실은 막대한데, 우리는 뾰족한 대책을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폭염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공강우' 기술을 조기에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인공강우'는 구름층이 형성된 대기중에 '구름씨'가 될 수 있는 염화칼슘, 요오드화은 등을 살포해 특정지역에 비나 눈이 내리게 하는 기술이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로 피해가 커지자 중국과 이스라엘 등이 관련 기술 확보에 발빠르게 나선 상태다. 중국은 한국 수도권 정도의 면적에 50mm의 인공강우를 내리게 하는 실험에 성공했다고 한다. 이에 중국은 인공지능(AI)과 드론을 활용해 인공강우 시대를 열어가려 하고 있다. 이스라엘도 2~3일간 강수 환경을 유지하는 기술을 확보한 상태이고, 미국과 러시아도 관련 원천기술 확보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고 한다.
반면 한국은 2015년 이후 국립기상과학원이 15차례 인공강우 시험을 해 7회 성공하는데 그쳤다. 그나마 성공적인 결과는 1mm 강수량을 1시간 동안 유지하는 수준이다. 기상과학원 관계자는 어떤 위치에, 얼마만큼 생성된 구름에, 어떻게 인공강우 유도물질이 효과가 있는지 등 많은 실험이 필요한데, 우리는 인공강우에 대한 시행착오 경험마저 부족한 실정이라고 말한다. 우리의 실제 인공강우 관련 예산은 연간 9억원에, 담당연구원도 10명 수준이다. 적어도 너무 적고, 늦어도 너무 늦은 감이 있다. 향후 올해 같은 폭염이 상시화 될 것으로 국민들은 예측하고 있다. 이로 인한 피해액도 천문학적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렇다면 인공강우 실험에 적극 투자하는 게 옳다. 명분도 크다. 정부가 해마다 폭염에 대한 뾰쪽한 대안을 내놓을 수 없다면, 인공강우 기술 개발에 적극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