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상가의 공실률이 전국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규모와 중대형 상가, 오피스텔 등 상업용 부동산 전체의 공실률이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했으며, 전국 최고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에 경기불황까지 겹치면서 상가 임대는 이뤄지지 않고, 대출 이자를 갚기 위해 건물주는 다시 임대료를 올리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7일 한국감정원 발표한 '2018년 2분기 투자수익률, 공실률, 임대료 등 임대시장 동향'에 따르면 전북지역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전분기 대비 1.7% 증가한 9.4%로, 세종시(12.0%) 다음으로 많은 공실률을 보였다.
이는 소규모 상가의 전국 평균 공실률 5.2%에 비해서도 크게 높은 수치이며, 서울(3.2%), 대구(4.0%), 인천(3.6%), 울산(2.5%), 강원(3.4%), 제주(1.8%) 등과는 더욱 큰 차이를 보였다.
2분기 전북지역의 중대형 상가 공실률 역시 16.2%로 경북(18.4%) 다음으로 높았으며, 전국 평균 10.7%와도 큰 차이를 보였다.
이와 함께 오피스텔의 경우도 전북지역의 공실률은 21.4%로 전남(22.1%) 다음으로 높았으며, 전국 평균 13.2%와 큰 격차를 보였다.
공실률이 증가하자 도내 중대형 상가 임대료는 ㎡당 1만5,400원으로 전분기(1만5,890원) 대비 -0.12% 떨어졌다.
소규모 상가 임대료도 ㎡당 1만400원으로 전분기 대비 -0.08% 하락했다.
이와는 반대로, 전주시 서부신시가지와 전북혁신도시의 경우 지나친 임대료 상승이 공실률 증가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부동산 중개인 등은 건물 임대관리 및 높은 수수료 확보를 목적으로 임대료 인상 경쟁에 나서고 있으며, 건물주들은 은행 대출이자를 갚기 위해 임대료 인상에 동참하고 있다는 게 해당 지역 세입자들의 입장이다.
이로 인해 공실률은 다시 높아지고, 세입자를 찾는 '임대 문의' 현수막만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전주시 서부신시가지와 전북혁신도시 상가건물 1층 상가는 그나마 대부분 영업을 하고 있으나, 2층 이상 상가 및 사무실 등은 대부분 공실로 남겨진 상태다.
또한 구도심 상권의 공동화 문제도 심각한 수준이다.
기존 상권이 빠져나가면서 외형이 줄어들어 임대료도 크게 줄어든데다 한집 걸러 빈 상가를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전북지역 평균 임대료 하락을 이끌고 있다.
이 때문에 전북지역 소규모 상가 임대료는 전국 평균(2만900원)에 크게 못미친다.
그럼에도 상가 공실률이 늘어나는 것은 지역경제가 하락하는 것과 함께 인구 대비 상가 비중이 높기 때문이란 것이다.
도내 한 부동산 중개업자는 "최근 전주 신시가지를 중심으로 주상복합아파트들이 들어서면서 아파트 내 빈 상가까지 공실률 상승에 영향을 주고 있다"면서 "전북은 오피스텔까지 투자수익률이 좋지 않은 지역으로 분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황성조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