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신재생에너지 조성으로 지난 30여년 간 공을 들여 간척한 새만금이 또다시 20여년간 바닷물에 잠겨 있어야 한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사업 확대 정책 기조와 보조를 맞추기 위해 진행된 연구용역 결과, 새만금 내 국제협력용지 등을 비롯한 상당면적이 후보지로 포함됐기 때문으로, 이 지역은 개발도 안된 채 물 속에 잠겨 개발의 사각지대로 방치되는 것은 물론 새만금사업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9일 전북도 및 새만금개발청 등에 따르면 최근 새만금개발청은 ‘새만금 신재생에너지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정책 연구’ 용역을 진행하고 태양광(3곳)과 풍력(2곳) 등 신재생에너지 설치 가능 후보지 5곳을 선정했다.

용역 결과를 살펴보면 첫 번째 후보지는 국제협력용지 동측 일부 지역을 두 번째 후보지는 산업연구용지 남측, 세 번째 후보지는 배후도시 일부 지역을 수상태양광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소요면적 규모는 총 37.1㎢에 이르며 이는 전주시 전체 면적(205㎢)의 6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규모다.

첫 번째 후보지는 19.6㎢면적에 1505MW 규모로 연구용역에는 가토제 2.1km와 방수제 6.9km를 건설해 구역을 확장한 후 수상태양광을 설치한다고 표기됐다.

두 번째 후보지는 10.9㎢ 면적에 825MW 규모이며, 세 번째 후보지는 6.6㎢ 면적에 500MW 규모의 수상태양광이 각각 설치될 계획이다.

아울러 네 번째 후보지와 다섯 번째 후보지에는 66MW 규모(산업연구용지 서쪽 수면)와 69MW 규모(국제협력용지 남측수면)의 풍력단지가 조성될 예정이다.

연구용역 결과에는 수상 태양광 설치에 따른 환경 훼손 우려와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에 따른 어업 피해 우려 및 주민 반발을 예상한 논리개발 검토 등을 비롯한 법률적 검토와 설치비용, 수입구조, 추진주체, 수입구조 등 종합적인 검토를 담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용역결과에 따라 사업이 진행되면 30년을 공들인 새만금이 또다시 최소 20년 동안 물에 잠겨 있어야 한다. 즉 20년 동안 이 지역은 용지조성을 않겠다는 의미일뿐더러 후보지 인근 내부개발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이마저도 연장이 가능해 태양광 발전시설이 설치된 부지의 개발은 사실상 지연이 불가피하다.

때문에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은 환영하지만 새만금 내부개발에 걸림돌이 되지 않고 지역발전을 위한 목적이 있어야 가능할 것이라는 의견과 새만금 사업의 전체 그림을 흐트릴 우려가 큰 만큼 새만금을 희생시켜서는 안된다는 찬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도내 정가의 한 관계자는 “신재생에너지 확대는 세계적 추세로 새만금에 신재생에너지 분야를 특화 시킨다면 새만금사업 추진에 자극이 될 수도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면서 “대규모 사업에 따른 새만금사업 전체 그림이 틀어질 우려와 함께 향후 인근지역 개발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