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병조 중국 충칭우전대교수

 

 중국에 생활하려면 휴대폰에서 서너가지는 필수품으로 앱을 깔아야한다, 첫째는 알리페이라고 불리우는 즈푸바오이고 둘째는 SNS와 결제가 가능한 위쳇(WeChat), 셋째는 물건 구매인 와이마이 앱 등이다. 이것들은 모두 전자상거래의 필수 아이템이다.
 이와 같이 중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전자상거래시장이다. 이중에서 매년 11월11일 싱글데이에 이루어지는 광군제이다. 알리바바(阿里巴巴)가 주도하는 광군제는 2017년 하루 매출액이 1682억위안(29조원)으로 이날 알리페이에서 14억8000만 건이 이루어졌으며 모바일 결제 비중이 90% 이상이었다.
 중국 정부는 이에 농촌의 전자 거래 활성화를 위해 지원 센터를 설립해 판로개척을 돕고, 5만 여명을 신규 채용하며 젊은 청년들을 농촌으로 부르고 있다. 마윈의 알리바바는 100억 위안(약 1조7000억 원)을 투입해 1천개의 현과 1만개의 마을에 '농촌 타오바오 서비스센터'를 건립하고 있다. 알리바바의 쇼핑몰인 타오바오는 지역 특산품을 개발해 온라인 판매를 하고 농촌의 구매대행을 해주는 등 각종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으며 농산물을 판매하는 것뿐만 아니라, 공산품, 생필품 등을 도시에서 농촌 지역으로 직배송되도록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얼마 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오는 2020년 우리나라 농촌마을 10곳 중 1곳은 20호 미만의 과소 마을로 전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 과소 마을은 가임 여성이 없고 초고령화가 지속해 30년 안에 소멸할 위기에 놓여 농촌사회가 급속히 붕괴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전체 마을 중 10% 정도는 과소 마을이 돼 결국 마을 자체가 소멸할 것으로 보는데, 과소 마을이 가장 심각한 곳은 전라북도로 전국의 40%를 차지했다. 결국, 전라북도의 농촌을 살리기 위해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최근 문재인정부의 농업정책 중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4차 산업을 활용한 스마트팜을 확대하겠다는 내용이 있다. 미래 IT 산업인 스마트시대를 연다는 것은 올바른 것이다. 그간에 농민들은 정부의 시책에 따라 많은 비용을 들여 따라서 했지만 빚더미에 앉거나 포기하여 성공한 사례는 매우 드물다. 결국 국비, 지방비에 자기부담을 투자하여 잘 모르는 분야에 투자하는 일에 농민이 부담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가까이에서 우리는 완주의 로컬푸드 사업에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이 사례는 일본의 지산지소(地産地消)운동을 벤치마킹하여 지자체가 판매망을 지원하고 농민들에게 품질 좋은 농산품을 생산하여 판매하도록 하여 전국의 모범사례로 소개되었다. 로컬푸드는 소비자가 그 지역에 찾아가던지 로컬 푸드 매장이 도시 근교에 자리 잡아야 성공하는 사업이다. 그러나 이마저 전자상거래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지속여부가 불투명하다. 모바일에 익숙해진 소비자는 그것을 소비하기 위해 매장을 방문하는 것을 보다는 모바일로 농산품을 구매할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로컬푸드에서 전자상거래를 직접 운영하는 것도 성공가능성은 불투명하다. 따라서, 로컬푸드를 기반으로 한 전자상거래유통망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여러 가지 사례들을 참고하거나 정책을 벤치마킹해서 우리나라의 유통대기업과 협업체를 구상해봐야 한다.
 민선 7기의 송하진 지사와 시군의 자치단체장들은 거창한 기업유치나 경제살리기 보다는 농업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 청년실업이 심각한 지금이야 말로 농업 전자상거래 시장은 새로운 일자리의 대안으로 떠오를 수 있다.
 앞서 알리바바, 듀폰, 바이엘 등 글로벌 기업들은 농업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또 6조3000억 달러에 달하는 세계 식품시장은 전 세계 IT와 자동차 시장을 합한 것보다 큰 규모이다, 구호로써 식품산업의 메카라고 이야기하는 것보다 결국은 팔려야 산다. 우리의 IT수준으로 모바일 농업전자상거래시장은 새로운 블루오션이다. 전라북도의 결단이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