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투표일이 이틀 앞으로 바짝 다가섰다. 이번 선거가 역대 지방선거 보다 낮은 투표율에 유권자가 후보들을 제대로 알지도 못한 채 눈감고 투표하는 최악의 깜깜이 선거가 되지 않을까 우려가 높다.
  우려는 선거를 앞둔 남북정상 판문점회담으로 국민적 관심이 그에 집중된 데서 비롯되어 왔다. 투표일 하루 앞 12일에는 북미정상 싱가포르 회담이 열리고 하루 뒤 14일에는 2018 FIFA 러시아 월드컵대회가 겹친다,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의원 등 전국 지방자치 일꾼과 시도교육감을 뽑는 지방선거의 중차대함을 아무리 강조해도 이들 세기적 빅 이슈를 넘어설 수 없는 게 어쩔 수 없는 현실이기는 하다.
  그러나 이들 이슈에 대한 쏠림이 지나쳐 정작 자신들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이 막중한 지방선거에 아예 무관심하거나 건성으로 지나치며 외면해서는 안 될 일이다. 그런데도 그 같은 현상의 조짐이 여러 측면서 나타나 있다.
  그간 각종 여론조사서 드러난 부동층이 일찍이 전례가 없을 정도로 높게 나타나 심상치가 않다. 선거일을 불과 1주일 정도 앞두고 방송 3사가 실시한 광역자치단체장 여론조사서 지지 후보가 ‘없다’ ‘모른다’고 답한 부동층이 30~40%에 이른다. 낮은 편인 전북이 30%대, 높은 편인 대구경북은 40%대를 넘는다.
  교육감 선거 부동층은 여간 심각하지가 않다. 전국 17개시도 중 13개 시도에서 지지후보가 ‘없거나 모른다’는 응답이 5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편인 전북 37%대서 높은 편인 인천 대구 충남은 60%를 넘는다.
  무관심을 넘어 외면이나 다름없다. 부동층이 많다보니 여론조사 1위 후보들 지지도가 30% 미만이 수두룩하다. 전북 29.9%, 경북 11.8%다. 그대로 당선자 득표율이 된다면 정통성에 의문이 제기될 정도다. 자치단체장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선거관리위원회가 투표율 높이기에 전력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들도 나서야 한다. 1995년 1회 때 68.4%였던 게 2002년 월드컵 3회 때 48.9%로 곤두박질쳤다. 이번 7회 지방선거서 그 전철을 되밟지 않아야 할 것이다.
  높은 부동층에 낮은 투표율이 겹치는 깜깜이 선거서 정통성마저 의문시되는 자치단체장과 교육감이 탄생되면 지방자치의 불행이 아닐 수 없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