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2015년 평균 우리나라 곡물자급률은 '23.8%'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세계 평균 곡물자급률은 '102%'였다. 우리나라 소비자들이 1년간 소비하는 곡물의 80% 가까이가 외국에서 수입한 것이란 말이다. 매년 쌀 생산량이 남아돈다는데, 왜 곡물은 이리도 부족한 듯 보일까? 콩, 팥 등과 소, 돼지 등 가축이 먹는 사료용 곡물까지 우리가 재배하는 곡물의 다양성과 재배면적이 매우 협소하기 때문이다. 정부가 식량안보를 지키면서도 곡물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논에 타작물 재배'를 유도하고 있지만, 왜곡된 유통구조와 적절치 못한 정책 지원으로 인해 우리 논에는 매년 남아도는 쌀만 재배되고 있다. 이와 함께 국내산 곡물 소비에 무관심한 소비자들의 태도 역시 곡물자급률 하락에 크게 일조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최근 '유엔식량농업기구 통계 데이터베이스(FAO STAT)' 자료를 토대로 산출한 우리나라의 곡물자급률은 3개년 평균 23.8%에 그친 반면, 전세계의 평균 곡물자급률은 100%를 넘겼다. 호주의 자급률이 275.7%로 가장 높았고, 캐나다도 195.5%를 기록했다. 세계 1위의 경제대국인 미국 역시 125.2%로 세계 평균보다 높았고 중국도 97.5%를 기록했다. 수출입 위주 성장을 추구하는 일본이 27.5%를 기록했지만, 우리나라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우리나라 곡물자급률이 세계 최하위권인 것이다.
곡물자급률은 한 나라의 식량안보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다. 특히, 세계 각국의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확산되면서 정치·경제적 분쟁에 따라 농산물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식량의 무기화'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그런데 식량안보를 든든하게 지키는 세계 여러 나라와 달리 우리나라는 식량안보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곡물자급률이 하락하는 것은 농지 전용 가속화, 자유무역협정(FTA) 확대에 따른 먹거리 수입 증가 등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농민과 우리 소비자의 관심이 큰 요소로 파악되고 있다. 나아가 농민의 선택마저도 소비자의 태도에 따라 변화되는 게 현실이다. 즉, 소비자가 국내산 소비를 선호하면 농민은 관련 생산기반을 확대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정부의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도 필요하다. 무엇보다 우리의 식량안보를 지키고 곡물자급률을 높이는 것은 우리의 태도에 달려 있다 하겠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