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인프라는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기계와 자동화 시설이 농작물을 주로 재배하며, 휴양 및 관광지로 활용된다. 국민이 생각하는 2040년 농업·농촌의 모습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다. 국민들은 2040년 대도시 인근 농촌은 아파트와 빌딩 등이 늘어나는 반면, 외진 농촌은 생활 인프라가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도농간 생활 인프라 차이가 더욱 두드러진다는 부정적 전망이다. 극심한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라 정주환경이 붕괴될 것이라는데 농경연 역시 동의하지만, 농촌을 어떻게 유지할 것이라는 정책은 아직 없는 셈이다. 귀농·귀촌인이나 다문화가정 등 농촌 전입인구와 기존 주민 간 갈등 역시 대부분 예상하지만, 해소책 역시 거의 없는 셈이다.
또 국민은 농촌 농업은 기계화, 자동화에 따라 대농 및 기업농이 증가하고, 신재생에너지 시설이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가족농 중심의 농업이나 고령화된 영세소농은 점차 사라질 수 있다는 우려도 동시에 나올 수밖에 없다. 하지만 아직은 이러한 변화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쉼터로서의 미래 농촌의 모습 역시 장밋빛과 잿빛 전망이 동시에 나왔다. 농촌이 가진 자원을 토대로 미래 농촌이 여가나 휴양을 위한 관광지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하는 반면, 전통적인 농촌다움을 잃어갈 수 있다는 전망도 다수였다. 힐링 공간으로 개발된다면 자연경관이 훼손될 수 있는 확률도 증가한다.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농업 농촌의 공익적 가치가 주목받으면서 깨끗하고 아름다운 농촌에 대한 국민적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동시에 4차 산업혁명 등 사회적 변화로 농촌은 커다란 변화를 맞고 있으며, 고령화 등으로 농촌사회 소멸이라는 위기를 맞고 있기도 하다. 유엔도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2050년 세계인구의 10명 중 3명만 시골에 살 것으로 내다봤다. 공업화를 거친 우리나라는 좀 더 빠르게 농촌 소멸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우리 국민이 좀 더 빠르게 미래 농촌에서 예상되는 문제를 진단하고 있다. 그렇다면 정부는 선제적으로 이를 해결할 의무가 있다. 지속 가능한 농촌을 위해 농촌개발전략을 마련하고, 우수한 농촌자원과 문화유산도 보호해야 하는 데 정부가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