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에서 사회통합 약화 징표인 자살률이 도시에 비해 약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소득, 고용, 건강, 주거, 사회참여 등의 부문에서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기존 통계자료 분석 및 설문조사, 진안군 마령면 등을 대상으로 한 집단면접 등을 통해 사회통합 실태를 파악한 결과, 농촌 지역은 다문화가족 및 귀농·귀촌인의 증가 등으로 주민 구성원들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들의 가치관·생활양식 차이, 이해관계 등으로 인한 분쟁과 갈등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측면에서 가구의 소득계층 인식의 경우 '중하층'(41.0%), '중간층'(38.4%), '하층'(16.8%) 순으로 응답했다. 또 여자일 수록, 노인일수록 하층이라는 응답이 많았고, 농촌의 빈곤율은 17.4%~32.6%로 도시의 2배 정도로 심각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에서 사회경제적으로 가장 소외되거나 배제된 계층은 청소년, 외국인 근로자, 중소농, 사회보장제도 사각지대 계층, 오·벽지 다문화가족, 독거노인, 빈곤층 등이었다. 
특히, 농가의 소득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농촌사회가 소득계층으로 양극화돼 있다고 인식하는 응답자의 비율이 40.0%로 높게 나타났다. 양극화의 주된 원인으로는 '일자리 및 돈벌이 기회의 부족'이라는 응답이 32.6%로 가장 많았다.
또 경제적 박탈의 경우는 '생활하는 데 바빠서 취미생활을 잊고 지낸 지 오래됐다'는 사람이 전체의 1/4 정도였고, 여성일 수록, 노인일수록, 다문화가족일수록,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높았다.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외지 출신 구성원들을 자신의 이웃으로 포용할 수 있는지'로 조사한 결과 5점 만점에 3점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범죄 경력자'에 대한 포용 점수는 1.82점으로 매우 낮았다.
사회갈등의 경우는 진보집단과 보수집단의 이념갈등(17.3%), 빈부갈등(16.9%), 고령 층과 젊은 층 갈등(16.4%)이 심하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농촌에서 사회갈등이 가장 심한 집단이나 영역은 귀농·귀촌인과 지역 원주민 간 갈등, 지역개발과 환경보존 간 갈등, 지자체 선거로 인한 갈등, 노인들 간 갈등 등이었다.
사회갈등 유발 및 사회통합 저해 요인은 '빈부격차 심화'(57.5%), '소외계층 문제'(48.3%), '이해 당사자의 지나친 이익 추구'(45.9%) 등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농촌에서는 문화·여가활동이 어렵고, 국민건강보험 가입 비율이 떨어지고, 국회, 중앙정부, 시·군청과 농촌주민 간의 소통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갈등 해소를 위한 정부의 노력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농촌주민이 절반 이상인 것도 특징이다.
농경연은 경제적 측면에서 ▲중?소농 맞춤형 영농 지원 ▲사회적 농업의 활성화 기반 구축 ▲농촌형 노인일자리 사업의 추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농촌 사각지대 축소를, 사회문 화적 측면에서 ▲농촌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개선 ▲농촌형 무장애시설(Barrier Free) 인증제도의 단계적 추진 ▲농촌주민의 사회공헌활동 지원 ▲면 지역 청소년·다문화가족 관련 서비스의 접근성 개선 ▲귀농·귀촌인과 지역 원주민의 융화 프로그램 확대를, 정치적 측면에서 ▲사회갈등 조정 및 사회통합을 위한 지역 거버넌스 구축 ▲기초 자치단체의 정당공천제도 개선을 제시했다./황성조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