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식농사가 제일, 교육으로 선진국을」

부안군선거관리위원회

지도홍보계장 오송수

6.13 지방선거가 60여일 남았다. 선거일전 60일은 선거과정에서 큰 변곡점이라 할 수 있다. 공직선거법상 대부분의 후보예정자들이 예비후보등록을 마치고 예비후보자로서의 선거운동을 하고 있으며, 각 정당들의 정당추천 후보자에 대한 정당공천을 눈앞에 두고 있는 시기이다. 따라서 제도적으로나 현실적으로 지방선거 후보자에 대한 유권자들의 체감도가 커질 수밖에 없다. 반면 지방교육자치에관한법률상 교육감선거는 교직원들이나 교직원가족·학부모들과 같은 직접적인 이해 당사자들과 지방신문 등 각종 매체를 접하는 경우 외에는 실제로 관심이 적은편이다.

본 필자는 베이비붐 세대 중 한사람이다. 어렸을 적 초등학교 시절에는 교사(校舍)가 부족해 2부제 수업(오전·오후로 나누어 등교)을 경험하였다. 현재 우리나라는 경제규모면에서 OECD 국가 중 10대 교역국이다. 힘든 보릿고개를 겪으면서도 자녀들만큼은 꼭 가르쳐서 손에 흙 안 묻히고 잘살게 하고 싶었던 것이 우리부모님 세대들의 희망이었다.

이와 같은 높은 교육열이 전후(戰後) 어려웠던 시기를 극복하고 오늘날과 같은 경제대국으로 만든 원동력이 아니었나 싶다. 저는 과거 보릿고개 세대 부모님들의 「뭐니뭐니해도 자식농사가 제일」이라는 평범한 이 말을 제1의 교육이념으로 되새기고 싶은 이유다.

「자식농사가 제일」 이라는 그 말 맹모삼천(孟母三遷)이나 백년대계(百年大計) 그 이상의 뜻이라고 생각한다. 2000년도 학교운영위원들에 의한 간접선거로 교육감선거가 치러진 이후 현재와 같은 주민직선제에 의한 교육감선거는 2006년도부터 치러지고 있다. 명실상부한 주민에 의한 교육자치의 실현인 것이다. 그동안 주민직선제에 의한 교육감선거의 투표율을 보면 우리 전북의 경우 59% 정도이다. 이제부터라도 교육감선거에 더 큰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국민소득 3만달러· IT강국·세계 제11위의 경제규모에도 불구하고 선진국소리를 듣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제는 교육을 통해서 국격(國格)을 높이고 보다 성숙된 사회를 만들어 가는 것이 가장 좋은 대안이라고 생각한다.

교육감선거는 지방의원과 지방자치단체의장 선거와 달리 정당추천제도가 없다. 그만큼 교육의 전문성이 높고 학내 자유가 더 필요하다는 얘기다. 반면 유권자들의 후보자 선택이 더 어려울 수도 있는 측면이 있다. 지금부터라도 교육감선거에 있어 어떤 후보자가 미래세대에 대한 교육정책이 있는지·비전과 정책이 좋은지·교육리더로서 도덕성을 겸비하였는지를 잘 살펴보아야 실제 투표현장에서 선택의 혼란을 예방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지방교육자치에관한법률상 전라북도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공영방송사 토론회나, 언론사·단체 주관 토론회가 있을 것이다.

6월 13일 「자식농사도 잘 지어주고 교육으로 선진국도」 만들어 줄 수 있는 후보자를 선택하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