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여당이 국립 보건의료대학을 남원에 설립하기로 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과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정책위원장이 공동으로 발표했다. 폐교된 서남의대 정원 49명이 다시 남원지역 의과대학서 되살아날 수 있게 됐다.
  전북으로서는 환영하고 축하해마지 않을 일이다. 서남대 폐교를 전화위복의 계기로 만들어 갈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정부가 의과대학 설립 위치를 남원으로 못 박아 여당과 공동으로 발표한 게 특별하다. 정치적 판단이 없지 않았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 같다.
  서남의대 정원 49명이 전북 몫이라 하더라도 복건복지부 결정으로 재배정할 수도 있는 일이다. 그런데도 이 같이 한 것은 전북에 대한 정치적 고려와 특히 전북 정치권의 의대 정원 지키기 노력이 주효한 게 아닐까 여겨진다.
  그러나 정부 여당이 공공의대의 남원 설립을 확정했지만 실제 설립까지에는 넘어야 할 고비가 만만치가 않다. 뿐만이 아니다. 신설 공공의대가 지역사회에도 공헌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풀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정부 여당은 공공보건의료 발전 종합계획에 따라 올 하반기까지 공공의대 설립과 관련한 법률을 제정해 내년부터 2022년까지 대학 설립과 캠퍼스 등을 마련하여 2023년 개교한다는 숨 가쁜 로드맵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5년여 동안 속도전을 벌이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실제 설립 과정에서 자칫 남원 설립을 안심할 수 없게 하는 위험이 없지 않다. 대학캠퍼스는 폐교 서남대 캠퍼스 인수가 바람직하나 사립학교법 개정이 선행돼야 한다. 불연이면 신축해야 하나 개교 일정이 촉박해 가능할까 의문이다.
  더 큰 난제는 의과대학 부속병원 문제가 될 것 같다. 종합대책은 당초의 남원의료원 확충 방안이 아닌 국립 중앙의료원 인프라 연계 방안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럴 경우, 남원 공공의대서 예과 교육만 실시되고 본과 교육과 실습은 서울서 실시된다. 복지부는 개교 이전까지 중앙응급의료센터 중앙감염병원 중앙모자보건센터의 현대화를 추진한다고 한다.
  남원 공공의대가 명실공이 지역사회 발전에 공헌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를 위해 신축이든, 인수든 예 본과 교육과 실습이 남원서 이뤄질 수 있는 캠퍼스와 의료 인프라가 마련돼야 한다. 허울만 남원 공공의대는 안 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