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5곳 중 한 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갚기도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는 등 자금 사정이 어려운 건설사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2018년 3월)'에 따르면 2016년 말 기준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한계기업'은 3,126개로 전체 외부감사 대상 기업(2만1,952개)의 14.2%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계기업'은 이자보상비율이 3년 연속 100% 미만인 기업으로,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없는 기업을 뜻한다.
한계기업 3,126개 중 중소기업 및 대기업이 각각 2,666개(전체 외감 중소기업의 14.6%), 460개(전체 외감 대기업의 12.4%)를 차지했다.
특히, 업종별로 부동산·건설업 비중은 신규 한계기업의 25.1%, 폐업기업의 28.2%로 여타 업종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건설업의 한계기업 비중(부동산·건설업 외감기업 대비 20.4%, 835개)은 상당히 높다.
여기에 한계기업 3,126개 중 부동산·건설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26.7%에 달했다.
또 한계기업의 지속 기간도 길었는데, 이들 업종의 2년 이상 연속 한계기업 중 7년 연속 한계기업인 비중도 28.9% 달할 정도로 높았다.
이는 지난 2012~2014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함께 부동산 및 건설시장이 침체된 것과 관련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이 기간 부동산 개발회사와 중소형 건설사를 중심으로 차입 비중이 확대된 반면, 이익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았다는 것이다.
아울러 도소매·음식·숙박업은 폐업으로, 4대 취약업종(철강·조선·해운·석유화학)은 구조조정으로 한계기업 비중이 줄어든 반면, 중소기업이 많은 건설업에서는 한계기업이 많아 남았다는 것이다.
부동산·건설업의 차입 규모는 26조1,000억원인데, 2016년말 한계기업 신용공여의 21.2%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부동산·건설업의 신용공여 규모는 2015년 25조7,000억원에서 4,000억원 증가했는데, 4대 취약업종 및 도소매·음식·숙박업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한은은 부동산·건설업의 차입금이 담보 설정 등으로 큰데 반해, 부동산 시장 침체 및 금리인상 등으로 수익성이 떨어지고 이자부담이 증가하면 한계기업 비율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측했다./황성조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