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말 판문점 평화의집에서 개최키로 한 남북정상회담을 놓고 많은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다. 국내는 물론이고 미국, 일본, 중국 등 주변이해 당사국들의 반응 또한 다양하다. 미국은 일단 공개적으로 남북정상회담을 지지했고 중국은 대변인의 담화까지 내며 한국대통령 특사단의 긍정적인 방북을 환영했다. 반면 일본은 성급한 결정, 달콤한 말에 속아선 안 된다는 내용의 언론반응이 나오고 있다.
북한이 비핵화의지를 분명히 하고 군사적 위협 해소와 체제 안전만 보장되면 핵을 보유할 이유가 없다는 점을 명백히 하면서 이에 대한 대화의 연장선상에서 남북정상회담을 열기로 했다는 특사단이 전한 북한 입장에 대한 평가를 놓고 믿음과 진실성에 입각해 각국의 입장에 차이가 있는 것이다. 일부에선 북한입장은 기존입장을 재확인한 것에 불과하다며 의미 없는 방북이었다는 극단적 평가를 내놓고 있기도 하다.
11년 만에 남북정상이 만난다는 것만으로도 의미 있는 계기가 될 것이란 긍정적 분석이 있는 반면 지금까지의 북한과 대화가 결국엔 아무런 결론이나 소득이 없는 그저 ‘만나 보는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닌 원점으로 돌아갔음을 상기시키며 강한 회의적 시각을 보이는 반론이 국내에서 나오는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특히 북한은 남북정상회담에 합의를 해놓고 다시금 핵을 포기할 수 없다는 내용을 노동신문에 내보내는 이중성을 여전히 노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과 유엔의 압박에 심각한 고통을 겪는 위기상황을 남북관계 개선이란 우회로를 통해 일단 모면해 보려는 꼼수에 또다시 한국이 넘어가고 있다는 일단의 분석에 힘이 실리는 것도 이 때문이다.  
북한이 핵을 포기 하지 않는 한 한반도 긴장완화는 절대 기대할 수 없다. 군사적 위협은 오히려 북한이 하고 있고 북한이 변하지 않는 한 협상은 또다시 빈손이 될 수밖에 없음도 분명하다. 정상회담이 반길 일인 건 맞지만 기대와 낙관은 아직 섣부른 판단이란 것이다. 국민들에게 멀리 있는 희망이 곧 현실이 될 것처럼 믿게 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은 더더욱 위험하다. 문 대통령이 7일 여야 5당 대표와의 오찬에서 핵 폐기, 비핵화로 한 번에 가는 게 어려워 단계를 밟고 있음을 밝혔다. 꼭 그렇게 돼야 한다. 핵 폐기를 목적으로 한 비핵화에 대한 분명한 의지와 실천이 담보되지 않는 정상회담은 의미가 없음을 잊어선 안 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