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미국 정부가 인구조사를 실시했는데, 농업 종사자 320만명이 9억1,500만㎡ 규모의 토지에서 210만개의 농장을 운영하며 농산물, 연료, 섬유 등을 생산하고 있었다. 그런데 농가경영주는 210만9,303명으로 2007년과 비교해 4.3% 감소했으며, 농업종사자 수도 3.1% 감소했다. 반면, 농가 경영주의 평균 연령은 58.3세로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을 예측했던 미국 정부는 2002년부터 막대한 자금을 투입해 '신규농 육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 결과, 65세 이상 농가경영주가 33%인 것에 비해 55~64세도 29%, 45~54세 22%, 35~44세 10%, 34세 미만이 6%나 된다. 또한 신규농 프로젝트에 참여한 농업인들은 생산성도 높아 농업 정착율이 높았다.
유럽의 많은 국가들도 농가 고령화 현상을 겪고 있다. 때문에 농업으로 청년을 유도해야 했고, 평균 이상의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영농기반을 구축해줘야 했다. 유럽연합은 공동농업정책에서 청년 농업인 지원을 중요한 의제로 다루고, 여러 가지 지원 수단을 도입했다. 아일랜드 정부는 최대한 많은 청년 농가들이 직불금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청년 농가를 대상으로 각종 세금 감면 및 면제 혜택을 제공하고, 투자 자본도 지원한다. 청년 농업인들의 농지 취득 및 임대 역시 용이하게 지원하는 등 영농기반 구축으로 빠른 시일 내에 충분한 농업 소득을 확보할 수 있도록 했다. 다른 유럽 국가들도 청년 농업인 직불금 예산을 마련하고, 청년 및 신규 농업인 지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농업 규모 유지는 국가 경영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최근 농식품 부문 일자리를 늘리고, 농업인 소득안전망을 확충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또한 청년들에게 농업 분야 일자리를 만들고, 청년 농업인의 영농 정착에 필요한 직간접 재정지원과 제도개선도 추진하는 모습이다. 반가운 일이지만, 시기도 늦고 아직 지원 규모도 적다. 올해 4월까지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의지, 참신한 사업계획을 갖춘 청년 창업농 1,200명을 선발해 영농 정착지원금 100만원을 지급한다는데, 그 정도로 아이디어와 의지, 구체적 사업계획까지 갖춘 청년이 100만원을 위해 농업을 선택할까 의문이다. 또 보여주기식 정책 아닌가 의심스럽기도 하다. 진정 농촌을 살리고 농업을 유지하려면 보다 규모가 크면서도 과감하고 빠른 정책 결정이 필요하다. 그래야 청년 농업인이 눈에 띠게 늘 것 같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