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한 국민연금공단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지역 일자리 정책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국민연금 데이터는 가입자 주민정보와 사업장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일자리 창출 및 소멸에 대한 활용도가 높기 때문이다.
16일 전북연구원 이강진 연구위원은 이슈브리핑을 통해 국민연금공단의 연금 데이터를 활용한 일자리 정책 패러다임 전환을 제안했다.
국민연금 데이터는 매월 단위로 관리돼 사업장 및 개인의 일자리 생성·소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면 전북 차원의 ‘일자리 상황판’ 운영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또 국민연금 데이터는 블록ID가 주어져 있어 아파트 단위 또는 가로세로 100m 단위의 세밀한 소지역 데이터를 제공하므로 특정지역과 특정산업, 특정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마이크로타기팅 일자리 정책을 추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업자가 많은 지역을 대상으로는 실업자 정책 홍보를 진행하고, 고용위기지역에 대해서는 재취업 및 재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차별화된 활동을 펼 수 있게 된다.
이밖에 상권분석, 주거 및 교통대책, 복지정책에도 활용 가능하다. 취업자의 이동현황 분석으로 출퇴근 경로 파악이 가능해 교통정책이나 주거정책에 접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국민연금 데이터 활용을 위해서는 국민연금공단 뿐만 아니라 유관기관이 전북도·전북연구원과 MOU를 체결, 자료 공유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민감한 개인정보를 제거하고 고유 ID를 부여해 활용하는 방안, 국민연금공단내 데이터 분석 공간 운영, 데이터 활용을 위한 지속적 연구 협력 등이 제시됐다.
이강진 연구위원은 “국민연금을 포함한 이전 공공기관 데이터는 통계청에서 제시하기 어려운 세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이들과 협력을 통해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도정정책 수립, 집행 및 환류를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혜기자·kjhwjw@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