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중 하나인 신설공공기관 및 유관기관의 지역이전에 대한 각 지자체들의 관심이 뜨겁다. 좀처럼 돌파구가 보이지 않는 침체된 지역경제에 다시 한 번 활기를 불어넣어 줄 수 있을 것이란 기대 속에 제2차 정부기관 유치를 위한 지역발전의 새로운 동력을 ‘혁신도시 시즌2’에서 찾으려 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2005년 6월 전국 10개 혁신도시로 이전할 공공기관이 확정된 이후 10여년에 걸쳐 전북 혁신도시를 비롯해 전국 대부분 혁신도시로 이전키로 한 공공기관들이 속속 이전을 마무리 짓고 있다. 지난 10월 식품연구원을 마지막으로 전북혁신도시 역시 13개 기관이 둥지를 틀며 그 틀을 완전히 갖췄다. 하지만 최근 전북도와 국회의 국정감사자료에 따르면 공공기관 이전 방침이 정해진 후 12년 동안 새롭게 신설된 정부공공기관만 74곳에 달하고 이중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만 61개의 기관이 몰려있다고 한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수도권에 밀집한 공공기관을 전국에 분산배치한데 따른 빈자리를 그만큼의 공공기관들이 새롭게 신설되며 채우고 있었던 것이다.
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들이 지역에 채 뿌리를 내리기도 전에 또다시 유관기관들이 대거 수도권에 남으면서 기존 혁신도시로 이전한 기관들과의 괴리감은 커질 수밖에 없다. 아직도 이전기관과 지역과의 유대감 결여에 대한 지적이 적지 않다. 직원들 대부분이 가족은 서울에 남겨둔 채 홀로 지역에 내려와 기러기 생활을 하면서 당초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부가효과가 반감된데 따른 대책마련에 지자체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 없었던 것 보다야 낫다고 하지만 기대한 만큼은 아니란 것이 전북혁신도시 이전 효과에 대한 지역의 냉정한 평가다.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창출을 위해 선도적인 역할을 해줄 수 있으리라 믿었지만 지금까지는 ‘아쉬움’으로 요약되는 실망감 때문이다.
여기에 제2차 공공기관 이전은 1차의 지역별 균등배분과는 달리 가능성을 염두에 둔 선택과 집중을 통한 성공한 혁신도시 모델로 육성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도가 정부 구상에 맞춰 이전기관과 상생협의회를 개최하고 지역특화산업육성, 금융타운조성, 스마트농생명밸리 정착 등을 위해 세부밑그림을 그리겠다고 하니 일단은 두고 볼 일이다. 하지만 전북과 경쟁관계에 있는 9개 혁신도시 지자체 모두가 예외 없이 혁신도시시즌 2를 준비하고 있다. 정말 신중하고도 치밀한 준비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이유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