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교대 총장 공백 사태가 새 정부서도 이어지는 게 아닐까 우려가 높다. 전주교대 총장은 대학이 추천한 총장 후보자를 대통령이 임명하지 않아 32개월째 공석으로 대학운영에 차질이 적지 않다.
 교대는 2015년 1월 대학의 총장추원위원회가 총장 임용후보자를 교육부에 추천했다. 교육부가 1년 넘게 대통령에 임용제청을 않았다가 2016년 7월에야 대학에 재 추천을 요구해 왔다.
  국립대학 총장은 대학의 추천위원회가 공모를 통해 1,2순위 후보자를 뽑아 추천하면 교육부가 임명권자인 대통령에 올려 그중 1명을 임명하는 총장후보자 추천 공모제였다. 종전의 대학 구성원들 직선 후보자 추천 방식을 바꾼 것이다.
  교육부가 추천 후보자 중에서 1명을 총장으로 임명케 했거나 2명 모두 부적하다고 판단되면 곧바로 재 추천 요구를 통해 임명절차를 다시 밟았어야 했다. 그런데도 교육부가 늑장 사연도, 거부 사유도 밝히지 않고 뒤늦게 재추천만을 요구했다.
  전주교대는 교육부의 재 추천 요구에 이를 부당하다며 불복과 소송으로 맞서왔다. 1년여가 다시 지난 가운데 총장 공백상태로 직무대행 체제가 지속되고 있다.
  총장 공백 사태가 장기화된 대학이 비단 전주교대만은 아니다. 알려진 국립대학들만도 8개가 넘는다. 공교롭게도 전주교대 등 교육대학들이 4개 대학으로 절반에 이른다.
  공백사태 장기화가 정부의 늑장과 부당한 추천 후보자 처리서 비롯된 것이나 후보자 선출과정의 대학 내 갈등서 빚어진 파생 부작용 또한 만만치 않다고 알려져 있다.
  새 정부가 국립대학 총장 공백 장기화가 전 정부의 적폐라 규정하고 이를 바로잡겠다며 후보자 추천을 공모제와 직선제 등 대학 자율선택에 맡겼다. 대통령 임명 절차는 마찬가지고 그럴 수밖에 없다.
  새 정부는 거기다가 기왕의 추천 후보자 적격 심사를 한다면서 시한이 따로 없다. 적격 판정 뒤 대학에 되돌려 보내 대학 측의 수용 여부를 또 묻겠다고 했다. 임용 절차만 더 늘어났다. 전주교대는 아직 수용여부 의사결정 절차도 마련 안 됐다고 한다. 새 정부서도 총장 공백사태 장기화가 불가피할 것 같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