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대학교가 결국 폐교의 운명을 맞게 된 것 같다. 남원 등 서남지역에 의대까지 함께해 지역인재 육성의 큰 몫을 맡아온 서남대가 설립자 교비 횡령으로 빚어진 운영부실 수렁서 끝내 벗어나지 못하고 마는 것 같다.
  교육부가 서울시립대학교와 삼육대학의 서남대 정상화 계획안을 반려키로 해 서남대 기사회생에 대한 지역사회 여망이 물거품이 되고 마는 것이다. 교육부의 반려는 곧 폐교 수순 밟기로 받아들여진다.
  두 대학교, 특히 서울시립대학교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막강 재정능력의 서울시가 설립 운영하는 대학이다. 교육부는 두 대학의 정상화 계획이 사실상 의과대학 인수만을 노린 외에 구멍 뚫린 서남대 재정의 정상화 방안이 되지 못하다고 평가했다. 반려가 불가피하다는 설명이다.
  남원시 등 지역사회가 ‘미리 폐교 방침을 정해놓고 수순 밟기’라며 크게 반발하고 나섰다. 법정투쟁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한 대응을 선언했다. 실제로 교육부가 서남대 폐교를 사실상 정해놓고 수순을 밟아왔을 지도 모른다.
  교육부가 당면한 가장 어려운 교육정책 과제 중의 하나가 입학생 절벽에 부딪친 대학들의 구조조정이다. 수년 내에 고교 졸업생 수가 대학정원 보다 16만 명이 모자란다. 1만 명 정원 대학 16개교가 사라져야 할 판이다.
  교육부가 대학정원 감축과 부실 영세 대학들 폐교 등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 설립자의 1천억 규모 교비 횡령으로 재정이 바닥나고 입학생 절벽에 부딪친 서남대가 표적에서 벗어나기가 쉽지 않았다 할 것이다.
  서남대가 기사회생할는지는 두고 볼 일이다. 그러나 지금 시점서 지역사회가 반드시 해야 할 일이 의과대학 정원 살리기라 해야 할 것이다. 서남대가 폐교가 돼도 재학생들은 인접 대학들에 편입케 돼 있다. 의과대학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렇다 할 때,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원을 전북대학교나 원광대학교 의과대학으로 옮겨 사실상 서남대 의과대학을 살려내는 일이다. 교육부가 두 대학들이 서남대 의과대학 인수만을 노렸다고 했다. 전남지역 대학들도 서남대 의대 인수를 노렸다는 게 오랜 전문이다.
  서남대 의대는 반드시 전북지역 의대가 흡수해야 한다. 서남대가 끝내 폐교될 때 최소한의 보상일 수 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