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의 지리적 규모의 한계로 양질의 일자리가 완주군으로 몰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전주시는 ‘소비도시’로의 고착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모습이다.
 24일 호남지방통계청 전주사무소에서 발표한 ‘경제총조사로 본 지난 5년간 전북 시·군별 사업체 구조변화’에 따르면 2015년 전북지역의 총 사업체수는 14만6654개, 종사자수는 66만9130개로 집계됐다. 조사기간(2010~2015년) 5년 사이 전북지역의 사업체 수는 2만1949개(17.6%), 종사자수는 10만3327명(18.3%) 증가했다.

 특히 전북지역에서 사업체수와 종사자수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완주군으로 사업체수는 2010년과 비교해 6,377개로 1,841개(40.6%)가 증가했으며, 종사자수 역시 1만6336명(52.5%) 증가한 4만8304명이었다. 이는 전주시의 신규사업장 입지부지 등이 포화상태인데다, 완주군과의 입지 및 가격 경쟁력에서 뒤쳐진 결과로 분석된다.

 또한 완주군은 상용근로자 비중에서도 전북도내에서 가장 큰 76.1%의 비율을 보였다. 이는 완주군에 괜찮은 양질의 일자리가 지속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데, 이 역시 전주시의 포화된 공장부지로 인한 ‘어부지리’효과로 설명된다.

 반면 조사기간 동안 도내 시군 지역에서 사업체수가 가장 많은 업종은 음식점업으로, 연평균 증가율이 인구수 증가율보다 4.5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전주지역의 개인사업체 비중 역시 도내에서 가장 높은 82.1%로 집계됐다.  특히 전주시의 음식점업 증가율은 15.7배로 소비도시로의 특징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원도심을 중심으로 동일한 업종이 증가함에 따라 동일업종간의 경쟁이 심해져 실제 영업이익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조사결과에 따르면 같은 기간 전북지역의 음식점당 매출액은 4천8백 만원이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2백만원 가량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결국 산업 확장성이 약한 전주시에 개인사업자들이 몰리고, 음식점 등 자영업주들은 작은 파이를 놓고 출혈경쟁을 벌이는 악순환이 지속되고 있는 셈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