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농촌의 정책 방향이 기존의 인구 유입 및 소득 증대를 넘어 '농촌다움'을 담아내는 방향으로 설정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농업 분야의 근로시간, 유통·서비스, 농촌식 주택 등의 고민과 함께 도시민이 농촌을 쉽게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과제들로 정책 지표들을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농촌에 대한 도시민의 이해를 높이고, 나아가 농촌에 투입되는 세금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을 더욱 많이 확보할 수 있는 방향이란 것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송미령 농업농촌정책연구본부장은 최근 열린 미래전략포럼에서 농촌지역의 소규모 난개발 문제를 지적하며, "농촌의 가치를 살린 친환경적이고 계획적인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동안 정책지표였던 인구 및 소득 등에서 벗어나 '농촌다움'을 정책 지표로 무게 중심을 바꿔야 한다고 제안했다.
조준모 성균관대 교수 역시 현재 농업·농촌의 통계치가 우리 농산업과 그 노동시장 상태를 잘 반영하고 있지 못해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조 교수는 "농업부문은 근로기준법 63조에 의해 근로시간, 휴게, 휴일 적용제외 대상"이라며 "농업이 1차산업을 넘어 판매, 유통, 서비스로 확대되는 추세를 반영해 근로기준 시간 등에 대한 진지한 고민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농촌다움'으로 기존의 농촌성을 살리는 공간 조성과 건축의 필요성이 제시됐고, 귀농인과 귀촌인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공간 구분 등의 방안도 제시됐으며, 농촌지역 개발을 도시적 계획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우선 농촌 삶의 가치를 파악하고 '농촌다움'을 어떻게 찾아낼 것인지 고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한편, 농경연 김창길 원장은 도시민에게 농촌의 다양한 가치를 전할 수 있는 보다 적극적인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농업과 농촌이 가진 다양한 가치를 유지·창출함으로써 국민에게 신뢰를 얻어야 하며, 농업·농촌은 국민에게 행복을 제공하고 경제·사회·환경적 책임을 완수해야 한다"며 " 그런 차원에서 '농촌다운' 가치 발굴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형상점이나 터미널 등 쇼핑·놀이·식사·여가 등이 가능한 건물이 도심에 늘어나고 있지만, 농촌 역시 농산물 생산에서 수확 체험, 구입, 다양한 놀이와 문화 체험, 토속음식 경험 등이 가능하고, 여기에 교육과 힐링공간으로도 활용되는 등 농촌의 가치는 무궁무진하다"며 "도시민 역시 농촌에 대한 가치를 수시로 체험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황성조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