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에서 해마다 수천 톤의 해양쓰레기가 수거되는 등 해양쓰레기들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다.
해양쓰레기는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을 맞아 도내 섬과 해수욕장 등을 찾는 관광객에게 좋지 않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다는 지적이다.
5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에서 수거된 해양쓰레기는 총 1991톤으로 전년 1439톤에 비해 552톤(27.7%) 증가했다.
전북지역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2012년 1496톤, 2013년 1660톤, 2014년 1724톤, 2015년 1439톤, 2016년 1991톤으로 최근 5년간(2012~2016년) 총 8310톤에 달하고 있으며 그 양도 증가추세다.
해양쓰레기 수거사업에 투입되는 예산도 2012년 16억400만원, 2013년 23억3300만원, 2014년 11억1600만원, 2015년 11억9300만원, 2016년 16억9300만원 등 매년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도내 해양쓰레기는 주로 고군산군도나 부안·고창지역의 해안가에서 수거되고 있으며, 육지 생활쓰레기가 60%, 양식장 쓰레기 35%, 중국·동남아에서 밀려온 국제쓰레기가 5%이다.
이에 전북도와 해당 지자체는 해양쓰레기 수거·처리에 나서고 있으나 예산·장비·인력이 부족해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는 올해도 해양쓰레기 수거 처리를 위해 지난해보다 3억원 정도가 늘어난 19억9100만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 예산으로 정화사업, 수매사업, 연안환경개선 등을 펴고 있지만 이 예산으로는 매년 발생한 쓰레기량의 30~40%만 수거하는데 그치고 있다. 그만큼 바다오염도 깊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해양쓰레기의 원인 및 발생량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상황에서 국비 등 예산 부족으로 해양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수거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 해양쓰레기 문제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해양쓰레기의 효율적인 수거와 처리를 위해 국비와 지방자치 비율을 6:4가 아닌 절반 이상으로 국비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도 관계자는 “해양쓰레기 수거 예산의 경우 해당 자치단체에서 절반이상을 부담하고 있어 국비가 더 늘어나면 해양쓰레기 수거가 보다 원활해질 것으로 보인다”며 “전북의 바다는 지역의 것이 아닌 우리나라 미래 식량 자원인 만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대책이 강구돼야 한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