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의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중소득·중기술’ 이상의 노인일자리 창출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고령인구 증가로 노인일자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노인 대부분이 단순노무직과 농림어업에 종사하고 있기 때문으로 단순한 일자리 및 소득지원 성격의 일자리 지원보다는 성장동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일자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21일 전북도 및 전북노인일자리센터 등에 따르면 전북은 오는 2019년 노인인구 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며, 2030년에는 이 비율이 30%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그러나 전북 노인들의 일자리는 단순노무직이나 농어업에 집중되면서 일자리의 질도 수준 이하에 머물고 있다.

실제 고령층 경제활동 참여자 중 농업 종사자(52%)를 제외하고 공공 일자리(18.9%), 단순노동(13.6%)에 집중됐다.

공공 일자리를 통해 노인들에게 지급되는 활동비 역시 10년 넘게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고령층이 노동을 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적은 금액이라도 생활비에 보태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노인 일자리 확대를 위해서는 공공 일자리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다양한 민간 부문의 수요를 반영한 일자리 창출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적절한 복지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한 지역을 대상으로 돌봄 중심의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등을 설립해 새로운 노인일자리 수요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공공 일자리 위주의 일자리정책에서 벗어나 중소득·중기술 이상의 일자리 창출이 시급하다고 말한다. 단순한 일자리 및 소득지원 성격의 일자리 지원보다는 성장동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일자리가 필요하다는 얘기다.

특히 새롭게 고령층으로 들어서는 베이비붐세대가 고령층의 큰 비중을 차지할 것이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이들의 역량에 적합한 일자리 창출을 지원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강희성 (사)대한노인회 중앙회 부총장은 “고령층의 경우 취업을 원하는 이들은 많지만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며 “고령층 인구가 자신의 커리어를 최대한 활용하고 젊은 세대들에게도 전수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