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의 ‘공약 1호’인 일자리 정책을 놓고 세간이 떠들썩하다. ‘일자리 추경’, ‘일자리위원회’, ‘일자리 100일 플랜’ 등 일자리 관련 메시지가 연일 쏟아지면서 국민들의 기대감도 한층 고조되고 있다. 또한 중앙․지방 공공기관에 ‘일자리 TF팀’이 가동되고 각 분야별 일자리 과제 발굴에 열을 올리고 있는 것은 그런 기대감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최근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일자리 81만개’를 창출하는 정책이 그동안 공공기관 입사를 준비해온 ‘공시생’들은 물론, 전 국민적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특성 상 구직자들의 대부분이 일자리의 여부나 임금도 중요하지만, 안정된 일자리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은 데 그 이유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도 중요하지만, 이와 함께 우리나라 일자리의 88%를 담당하고 있는 중소기업에서 안정적이고 양질의 일자리가 늘어나야만 궁극적인 성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총괄적으로 추진하는 지방중기청장의 입장에서 일자리와 관련해 현장에서 자주 듣게 되는 소리가 ‘좋은 일자리가 없다’는 구직자와 ‘일할 만한 사람이 없다’는 중소기업의 목소리다.

그 이유를 분석해볼 때 우리지역의 경우 중소․중견기업이 도내 사업체의 99.9%를 차지하는 산업구조의 특성 상 일자리를 둘러싼 ‘미스매치’ 현상은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 알 수 있다.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4월 전북고용동향’에서 도내 고용률은 59.1%로 지난해 8월 이후 계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으며, 취업자 수 또한 전년대비 1.3% 감소했다는 통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우리 지역 내에서 좋은 인재를 채용하기 위한 중소기업과 좋은 직장을 찾기 위한 구직자들 사이에 이견은 그만큼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일자리를 창출하는 정책과 더불어 일자리 문제를 푸는 첫 번째 단추는 일자리를 찾는 구직자에게 진정성 있는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과 더불어 중소기업에게는 고용을 해소 해주는 ‘상생 채용’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와 관련, 전북중기청에서는 중소기업과 구직자를 위한 상생채용을 위해 전국 최초의 ‘중소기업 1일 현장연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중소기업 1일 현장연수 사업’ 은 기존 채용박람회가 복잡한 현장에서 20분 이내의 면접을 통해 채용이 이뤄지다 보니 채용 후에 중소기업과 구직자 상호 간의 기대치가 달라 단기간에 중도 퇴사 또는 이직하는 사례가 다수 발생한다는 점에 착안해,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시행하고 있는 사업이다.

이 사업으로 기업의 채용 담당자는 구직자의 근무태도 심층 관찰 기회를 통해 채용 결정이 용이해지고, 취업희망자는 기업현장에 대한 밀도 있는 체험 기회 제공 및 현장 이해도 제고로 장기재직을 유도 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취업률 제고와 이직률 감소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게 됐다.

이외에도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을 통해 산업계 수요와 연계한 현장중심의 직업교육을 지원해 중소기업으로의 안정적인 인력유입을 확보하는 한편, 지역대학과 협약을 통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학위과정을 설치함으로써 중소기업 우수인재 양성 및 근로자의 장기재직을 지원하는 ‘중소기업 계약학과’ 사업도 진행 중에 있다.

‘오해’와 ‘이해’는 모음 한자 차이지만, 그 의미에 있어 엄청난 공간이 있다. 서로 쉽게 해결 할 수 있는 문제도 ‘오해’가 생기면 어긋나게 돼 있으며, 정말 어려운 문제도 서로를 ‘이해’하면 쉽게 해결되기 마련이다.

‘일자리 정책’도 마찬가지다. 좋은 직장을 원하는 구직자와 좋은 직원을 채용하길 원하는 중소기업 사이에 서로를 잘 모르기 때문에 ‘오해’가 생겼다면, 앞으로는 보다 근본적으로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개선과 이해도를 높여 지역인재들이 도내 유망 중소기업에 채용됨으로써 서로 성장 할 수 있는 상생 채용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