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는 전국적으로 귀농귀촌 선호지로 각광을 받고 있는 지역이다. 도시민을 대상으로 한 전북의 다양한 귀농귀촌이 늘고 있어 인구증가에 큰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내 농어촌은 지금 주민의 고령화로 인해 활력을 잃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귀농·귀촌인구를 늘려 활기를 되찾는 일이다. 귀농·귀촌을 위해 찾은 도시민들이 지역에 뿌리를 내리고 살 수 있다면 농어촌은 물론 도시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다.
전북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전북의 귀농귀촌 가구는 총 5만823가구로 2013년 1만5643가구에서 2014년 1만7747가구까지 증가했다. 이 기간 시군별로 보면 완주군이 1만1797가구로 가장 많고, 익산 5305가구, 고창 4493가구, 김제 3871가구로 유입인구가 많았다.
귀농귀촌 인구가 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절반 가까이가 타지역이 아닌 도민이 주소지만 옮긴 상태라는 사실이다.
실제 지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도내 귀농귀촌 5만823가구 가운데 전북에 주소를 둔 도민이 2만7069가구로 절반이 넘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때문에 귀농귀촌 가구 중 도내에서 이동한 가구가 실제 귀농귀촌인지 사실상 이사를 한 것에 지나지 않는지 따져 봐야 한다. 전북도와 도내 지자체는 귀농귀촌이 전북 인구증가를 이끌고 있다며 최근 3년간 총 445억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했다.
이 기간 귀농귀촌 5만823가구 가운데 나홀로 내려온 1인 전입이 3만7972가구(74.4%)로 절반을 넘고 실제 거주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45억원을 투입한 귀농귀촌의 현주소인 것이다.
도가 기대했던 가족단위 이주를 통해 새로운 전북의 가족으로서의 역할은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전북도는 이제부터라도 귀농귀촌에 대한 홍보에만 열을 올리지 말고 절반이 도민인 귀농귀촌 정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 당초 목표대로 인구유입인지, 아니면 지금처럼 전주 등 도시에 사는 도민의 귀농귀촌을 확대할 것인지 선택할 때다.
농어촌에 활력을 불어넣을 줄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과 지원책이 필요하지만 절반이 도민인 귀농귀촌 정책을 대대적으로 손질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