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유네스코에서 선언하고 2004년 한국에서 협약을 발효한 ‘문화다양성’. 그 가치를 확산코자 2012년부터 ‘무지개 다리 사업’을 진행하고 있고 ‘문화다양성의 보호와 증진에 관한 법률’을 2014년 11월부터 시행 중이다.  
 

그렇다면 2017년 전북 문화다양성은 어떤 모습일까. 이주여성 등 특정 계층에 한정된다는 인식이 여전히 강하며 사업도 제한적이다. 전북 문화다양성이 한 걸음 나아가기 위해서는 문화다양성의 개념을 정확히 알리고, 취지와 지역에 맞는 사업을 진행해야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재)전북문화관광재단(대표이사 이병천)이 문화다양성 주간을 맞아 25일 전북예술회관에서  2017 문화다양성 정책포럼 ‘전북 문화다양성 현재와 미래’를 개최했다.

  특히 문화다양성 범주에 대한 이야기가 많았는데 ‘우리나라 문화다양성 개념과 시각’을 발표한 이 완(아시아인권문화연대 대표)은 “다문화정책으로 축소 또는 오인하거나 문화적 동화나 통합으로 이해하는 경우가 있다. 다름을 인정하는 사회 구현이 목적인만큼 다양한 문화들이 서로 차이를 드러내며 공존하는 걸 지향한다”고 설명했다.

  전북도도 크게 다르지 않다는 분석이다. 정책은 다른 지역과 동일한 수준이나 국가 간 문화교류와 종교 부문이 특화돼 있다고 언급했다. 무지개다리지원 사업의 경우 도내 곳곳에서 이뤄지고 있지만 이전 내용들이 반복되거나 여러 입장을 접하기 어렵고, 쌍방향보다는 일방적 제공이 많다고 했다.   

  이와 관련 문화다양성에 대한 의식개선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전라북도 문화다양성 사업 사례와 현장-무지개 다리 지원사업을 중심으로’를 주제발표한 문윤걸(예원예술대 교수)은 “다양한 이분법적 문화구조에서 강자와 약자가 존재하는 문화적 지배와 갈등의 현장 모두에 적용되는 개념임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경례(전남대 학술연구교수)는 토론문 ‘문화다양성 증진 정책 방향을 위한 제언’을 통해 “문화예술인을 넘어 일반 시민들이 참여자가 돼야 한다. 세대별, 계층별, 집단별 문화권의 존중, 소통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하고 대안사회에 기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주류 문화에 대한 이해와 공존, 융합과 창조, 교류와 협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목적과 지방색을 반영한 정책이 뒤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은미(고창농촌관광 팜팜사업단 사무국장)는 토론문 ‘전북 문화다양성의 사업 사례 경험을 통한 고민과 과제’에서 “도시와 지역의 차이와 다름이 있음을 간과해선 안 된다”면서 “익산문화재단은 ‘익산시 문화다양성 보호와 증진에 관한 조례(가칭)’ 제정을 위해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할 예정인데 매우 반가운 소식”이라 했다. 

  장세길(전북연구원 연구위원)은 발제문 ‘전북 문화다양성 기반 마련 위한 정책 제안’에서 “전북은 중앙과 대비해 비주류인 지방, 세계종교문화축제에서 다루지 않는 4대 종교 외 종교, 사회적 소수자를 고민해 볼 수 있다”면서 “이를 토대로 비주류 집단의 문화향유기회를 주류집단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주류와 비주류와 서로를 받아들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면 새로운 문화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이수화기자‧waterflower20@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