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공약 등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도내 공공기관마다 비정규직 근로자가 태반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치단체, 공기업, 교육기관, 국립병원 가릴 것 없이 적게는 수십 명부터 많게는 수천 명에 달했다.

이들 비정규직 근로자들은 “언제 해고될지 모를 고용불안과 최저임금 수준에 머무르는 저임금에 시달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23일 만난 3년차 간접고용 근로자 양영임(57·여·전주시 진북동)씨는 입사하던 2015년부터 지금까지 근로계약서를 3차례 작성했다. 더군다나 하청 업체 선정도 3년마다 이뤄지는 구조 탓에 고용환경이 몹시 열악했다.

간접고용 형태의 문제는 비단 고용불안에 그치지 않았다. 근무 계약을 빌미로 ‘직원평가’ ‘휴게시간 무급’ 등 갑의 횡포가 만연했다. 오전 6시 30분 출근해 오후 3시 30분까지 9시간 동안 상주하지만 식사시간과 휴게시간 2시간은 근무시간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때문에 다른 곳에서 근무하는 환경 미화 근로자들과 급여 차이가 발생했다. 이밖에도 '3~5명을 블랙리스트에 올렸다’ ‘평점이 좋지 않아 같이 못 가겠다’ 등 평소에도 협박이 잦았다”는 게 양씨의 말이다.

하지만 양씨가 받는 급여는 129만원(수당포함) 남짓이다. 물가는 천정부지 치솟았지만 양씨의 급여는 수당 6만원 오른게 전부다. 양씨를 비롯해 18명의 환경 미화 간접고용 근로자들이 지하 1층 지상 10층 본관과 대강당, ICT 등 별관 2곳을 청소하고 대가로 받는 보수다.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열악한 근무 환경은 비단 양영임씨 뿐만이 아니었다. 농촌진흥청 기간제 근로자 A씨(32·전주시 평화동)도 고용불안과 저임금에 한숨만 내쉬고 있다. 지난 3월 높은 경쟁률을 뚫고 근무하게 됐지만 1년짜리 계약직인 탓에 당장 내년 일자리부터 걱정하고 있다. 통장에 찍힌 130만원 남짓 급여 때문에 김새기 일쑤다. 짧은 계약 기간 탓에 근무 의욕도 능률도 저조했다. A씨는 “한정된 계약 기간 때문에 꿈조차 꿀 수 없다. 하루 빨리 안정된 직장을 구하고 싶다”고 토로했다.

이 같은 상황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동조합 전북지역본부는 이날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 정규직화’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도내 공공기관 간접 고용 근로자의 계약 기간이 1년에 머무르고 하청 업체가 변경될 때마다 고용불안에 시달리고 있다는 주장이다.

이들에 따르면 도내 공공기관 비정규직은 2015년 기준 직접고용(단기 포함 기간제) 9294명과 간접고용(미화, 시설 등 용역) 3305명 등 모두 1만2599명이다. 이는 공무직(무기계약) 근로자는 제외된 수치로 실제 비정규직 근로자는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산됐다./권순재기자·aonglhu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