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6년 1월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2016년 다보스 세계경제포럼(WEF)’에서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이래 4차 산업혁명은 전 세계의 핵심키워드로 자리잡았다. 4차 산업혁명은 정보기술로 인해 자동화와 연결이 극대화된 ‘초연결, 초지능’이 가능한 사회를 말한다. 4차 산업혁명이 진화하게 되면 거리, 시간 및 자산이나 지식의 소유, 노하우가 파괴되어 사회, 경제, 산업 등 모든 분야에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세계경제포럼의 회장을 맡고 있으면서 4차 산업혁명을 이야기 한 클라우스 슈밥과 2011년 <3차 산업혁명>이라는 책을 저술한 제러미 리프킨 모두 ‘인공지능과 자동화의 영향’으로 모든 국가는 실업과 양극화 문제가 심화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세계경제포럼의 <직업의 미래보고서>에서도 현재 인간들이 하고 있는 일자리 중 로봇이 인간의 작업을 대체하여 많은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구매력이 감소하게 되면 경제 성장에 심각한 타격을 입힐 것을 염려하였다.
이처럼 새로운 패러다임이 도래하자 각국 정부와 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핵심 기술개발, 인력양성, 인프라 조성 등에 많은 예산을 투입하는 등 사활을 건 경쟁을 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과 로봇, 사물인터넷(IoT) 등이 교육, 의료, 금융, 교통, 공공, 제조, 유통과 같은 다양한 산업들과 결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제품과 서비스, 비즈니스를 만들어 내고 있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은 가상과 현실이 융합된 제품을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데이터 기반의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또한 소가족화가 정착되면서 낭비를 줄이는 공유경제가 일상화되기 시작하였다.
4차 산업혁명의 키워드는 ‘초연결과 융합’이다. ‘초연결과 융합’은 기업들만의 전유물이 아니고 정부의 정책에서도 가능하다. 관련성이 없어 보이는 정책들도 초연결과 융합이라는 키워드를 적용하여 보면 이전에 생각하지 못했던 새로운 서비스와 비즈니스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전북지역을 예로 들어보자. 무주, 진안, 장수, 남원, 순창, 임실 등은 산간지역이고 내륙이다 보니 기업유치에도 어려움이 많고, 백두대간법에 가로막혀 개발도 쉽지 않다. 역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이 지역의 발전을 위해 노력해 왔지만 그다지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그러는 사이 인구는 계속 줄었고 이로 인해 정치적 영향력은 미미해져 누구도 생색이 별로 나지 않은 지역에 많은 예산을 투입하려 하지 않는다.
이 지역을 살릴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정부는 자신의 소관업무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데 주된 관심을 두다 보니 타부처와 연결하여 융합하는 정책을 수립하는데 소흘하였다. 그러다 보니 천혜의 자연조건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인간평균수명은 100세를 향해 가고 있고 우리나라도 조만간 초고령사회에 접어든다. 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50대 후반 또는 60대 초반에 정년퇴직을 한다. 퇴임 후에도 최소 30년에서 50년 이상 생활하여야 한다. 국민연금으로 해결하기에는 부족하고 일자리가 필요하다. 건강하더라도 나이가 들면 대부분 노인요양시설이나 노인요양병원으로 들어가 생활하게 된다. 이러다 보니 의료보험비용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도 노인들의 삶의 질은 점차 나빠지게 된다. 우리 사회는 노인들의 의료보험비용 적자문제, 노인들의 빈곤과 실업문제, 그리고 노인들의 삶의 질 저하문제에 직면해 있다. 농촌은 인구가 급격하게 줄면서 점차 활력을 잃어가고 있다.
농촌을 살리고 노인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농촌을 국민건강 지킴이로 활용하는 것이다.
전북 동부지역은 사람이 살기에 가장 적합한 400미터 이상의 고도와 깨끗한 공기, 물이 있다. 적당히 운동할 수 있는 둘레길도 있고, 소일거리로 일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나 논, 밭이 지천에 깔려 있다. 도시노인들을 위해 노인요양시설과 편의시설 및 중점병원을 농촌에 건설하고 이들을 간병할 수 있는 사람도 노인으로 채용하는 것이다. 질병에 걸린 노인들에게 소일거리로 채소를 돌보게 하면 이것 또한 하나의 치료방법으로 적합하다.
정부가 농촌문제와 노인문제를 연결하는 정책을 수립하여 실천한다면 농촌은 인구가 늘고 활력이 넘쳐서 좋고, 노인들은 직장을 구하고 천혜의 자연조건을 갖춘 곳에서 즐기면서 살 수 있어서 좋다. 또한 국가는 의료보험비용지출을 낮추고 노인실업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서 좋다. 정부정책도 이젠 ‘초연결과 융합’이 정답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